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

 1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1
 2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2
 3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3
 4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4
 5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어우야담 3권 학 예편 문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우야담 제3권 학예편 문예
199
① 죽은 친구 성진선(成晉善) 성진선(成晉善): 명종 때의 문인으로 생몰년은 1557년∼미상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즉행(則行), 호는 연강(烟江)이다.
은 매번 말했었다.
“내가 보건대 그대의 문장(文章)은 맹자(孟子) 맹자(孟子): 전국 시대의 사상가로 생몰년은 기원전 372년~기원전 289년이다. 자는 자여(子輿)ㆍ자거(子車), 이름은 가(軻)이다. 공자의 인(仁) 사상을 발전시켜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다. 주요 저서로 『맹자』(孟子)가 전해진다.
장자(莊子) 장자(莊子): 전국 시대 송(宋)나라의 사상가로 생몰년은 기원전 369년~기원전 289년이다. 이름은 주(周)이고 제자백가(諸子百家) 중 도가(道家)의 대표자로 저서로 『장자』(莊子)가 전해진다.
사마천(司馬遷) 사마천(司馬遷): 전한(前漢)의 역사가로 생몰년은 기원전 145년~기원전 86년이다. 이름은 자장(子長)이고 저서로 『사기』(史記)가 전해진다.
반고(班固) 반고(班固): 후한(後漢)의 역사가로 생몰년은 32년~92년이다. 자는 孟堅이고 저서로 『한서』(漢書)가 전해진다.
한유(韓愈) 한유(韓愈): 당(唐)의 문학가로 생몰년은 768년~824년이다. 자는 퇴지(退之)이고 호는 창려(昌黎), 시호는 문공(文公)이며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유종원(柳宗元)과 함께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을 배척하고 선진(先秦)·양한(兩漢) 때의 고문(古文)을 부흥시키고자 한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주도하였다. 저서로 『창려선생집』(昌黎先生集)이 전해진다.
유종원(柳宗元) 유종원(柳宗元): 당(唐)의 문학가로 생몰년은 773년~819년이다. 자는 자후(子厚)이고 혹은 유하동(柳河東)유유주(柳柳州)라고도 칭해지며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이다. 한유와 함께 고문운동을 펼쳤다. 저서로 『유하동집』(柳河東集)이 전해진다.
을 두루 채용하여 스스로 조화를 이루었고 옛 사람의 작품을 모방하지는 않았다. 최립(崔) 최립(崔): 조선 중종과 광해군 때의 문인으로 생몰년은 1539년~1612년이다. 본관은 통천(通川). 자는 입지(立之), 호는 간이(簡易)동고(東皐)이며, 문장 짓는 데 뛰어나 최립의 문(文), 차천로(車天輅)의 시(詩) 한호(韓濩)의 서(書)를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고 일컬었다. 문집으로 『간이집』(簡易集)이 전해진다.
은 다만 『한서』(漢書)와 『사기』(史記), 한유의 비문(碑文), 유종원의 문장(文章)의 문체(文體)와 격식(格式)을 본받고 흉내 내었으니 좁디좁아 자못 그대의 문장만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