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

 1  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1
 2  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H. Richard Niebuhr
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
리차드 니버의 상기 영어 원서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제공해 준 발제팀의 노고에 깊이 감사하며 다음의 토론거리를 제공하여 학습의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발제의 대상인 원저는 제목과 같이 신학, 역사, 문화를 대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1장 신학에서 “신학에 있어서 다음의 진보”, “에큐메니컬 비전”을, 2장 역사에서 “역사의 의미”와 “역사적 해석”을, 3장 문화에서 “종교와 민주주의 전통”, “설교”를 소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는 편자인 존슨이 나름대로 리차드 니버의 사상의 핵심을 정리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1. (신학)흔히 니버의 사상은 어거스틴, 조나단 에드워드, 마틴 부버, 트뢸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Mark A. Noll,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ung Co. 1992) : 최재건 역, 『미국, 캐나다 기독교 역사』(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5), 622.
논찬팀의 견해로는 원죄에 대한 인식이 어거스틴에 의한 영향으로 받아들여지며, 엄격한 도덕적 삶이 에드워드에 의해, 초월적 존재에 대한 부분이 바르트와 부버에 의해, 기독교적 역사 해석이 트뢸취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경향성은 상당부분 토론의 주제인 그의 책과 흐름이 유사하다고 여겨진다.
그렇다면 이들의 사상과는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이 있는가.
2. (역사)또한 이들 세 사람에게 영향을 받은 리차드 니버의 사상은 그의 형 라인홀드 니버와는 어떠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가. 리차드 니버는 그의 저서에서 라인홀드 니버의 역사해석을 비판하고 있다.
H. Richard Niebuhr, Theology, History, and Culture: Major Unpublished Writings(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96), 91-100.
특히 원죄에 대한 인식 라이놀드 니버의 원죄에 대한 견해와 윤리적 부분은 그의 저서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인간의 본성과 운명』을 참고할 것.
과 역사인식에 관한한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인가. 리차드 니버는 3장 “문화부분에서 종교와 민주주의 전통”이라는 소주제로 타락과 원죄에 대한 통찰, 나아가 자유에 대한 노력으로 미국 역사를 재해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발제팀의 견해를 나누고 싶다.
또한 이러한 원죄는 그의 형인 라인홀드 니버의 견해와는 같은 것인가. 즉 리차드 니버는 원죄에 대한 견해는 형과 일치하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강한 형에 비해 초월의 문제가 취약하다는 세간의 비판은 정당한 것인가. 또한 이러한 부분이 바르트나 마틴 부버에 의지하는 리차드 니버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가.
3. (문화)리처드 니버는 트뢸치의 교회, 소종파, 신비주의의 세 가지 분석을 발전시켜 문화에 대립하는 그리스도의 유형, 문화의 그리스도의 유형, 문화위에 있는 그리스도 유형, 문화에 조화하는 그리스도 유형, 문화를 변혁하는 그리스유형의 5가지를 문화와 그리스도의 관계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저작을 참조할 것.
H. Richard Niebuhr, 『그리스도와 문화』, 김재준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이에 대한 타당성은 어떠하며, 한국 교회사에 있어 접목가능성은 어떠한가. 서정민 교수는 황사영 유형을 문화에 대립하는 그리스도형인 ‘국가 배타형’으로, 정하상을 문화의 그리스도형인 ‘국가 적응형’으로 분석하여 비교하고 있다. 또한 정하상의 유형은 트뢸치의 ‘Church Type과 유사하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초기 민족교회형태인 이러한 모습은 일제에 순응하는 왜곡과 굴절의 모습을 띄게 된다고 분석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조할 것.
서정민,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 기독교회와 민족국가 관계론 연구』(서울: 한울, 2000)
서정민, 「일제하 일본기독교의 한국인식 연구-신앙과 민족의 관계를 중심으로」(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