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당未堂서정주

 1  미당未堂서정주-1
 2  미당未堂서정주-2
 3  미당未堂서정주-3
 4  미당未堂서정주-4
 5  미당未堂서정주-5
 6  미당未堂서정주-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당未堂서정주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당(未堂) 서정주
1. 생애
서정주는 1915년 5월 18일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속칭 질마재)에서 출생하였다. 질마재의 질마는 마을을 넘어가는 모양이 길마 수레를 끌 때 말이나 소 등에 안장같이 얹는 제구
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 그의 아버지 서광한은 재주가 많은 사람이었으나 미당 할아버지의 노름벽 때문에 가신이 탕진되어 먹고살기 위해 질마재에 들어와 삶의 터전을 잡았다. 미당은 어려서 고향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부안 소재의 줄포초등학교에 입학, 5년만에 마치고 서울 중앙고보에 입학했으나, 광주학생사건 일주년을 맞아 학생운동의 주동자로 활동하다가 퇴학당하고 만다. 그 이듬해 봄, 고향의 고창고보에 편입했으나, 또 다시 학생사건에 연루되어 몇 개월 만에 중퇴하게 된다.
이후 방랑생활을 하다가 선배인 미사 배상기의 소개로 석전(石顚) 박한영 대종사의 문하에 들어가 불자가 되어 서울 성북구 안암동 소재의 개운사 대원암 중앙불교전문강원에서 불경을 공부했다. 이어 중앙불교전문학교에 입학했으나 1년 만에 중퇴하고만다.
1936년 《동아일보》신춘문예에 으로 등단하여 같은 해 김광균 ·김달진· 김동인 등과 동인지 《시인부락(詩人部落)》 1936년 11월에 창간하여 1937년 12월 통권 2호로 종간되었다. 초대 편집 겸 발행인은 서정주(徐廷柱)였고, 시인부락사에서 펴냈다. 국판, 30~40면이다. 동인으로 제1호 때에는 서정주·김달진·김동리·여상현·오장환·함형수·김광균 등이 참여하였고, 제2호 때에는 오화룡·이시복 등이 참여하였다.
창간호의 편집후기에서 서정주가 밝혔듯이 사람은 본래 개성과 구미가 각각 달라…우리는 우리 부락에 되도록이면 여러 가지의 과실과 꽃과 이를 즐기는 여러 가지의 식구들이 모여서 살기를 희망하였던 만큼 일정한 문학적 이념이나 방향 아래 모인 동인이라기보다는 각기 개성과 특성이 다른 시인들의 우호적인 집단이었다. 그러나 주로 인간 생명의 고귀함을 노래한 시들이 두드러져 이들을 생명파라고 하였다.
을 창간하고 주간을 지냈다. 1938년에 방옥숙과 결혼하고, 1941년에 만주에서 귀국하여 첫 시집인 『화사집』을 출간한다.
그러나 1942년 7월 《매일신보》에 다츠시로 시즈오[達城靜雄]라는 이름으로 평론 《시의 이야기-주로 국민 시가에 대하여》를 발표하면서 친일 작품을 쓰기 시작하였다. 이후 1944년까지 친일 문학지인 《국민문학》과 《국민시가》의 편집에 관여하면서 시, 평론, 수필, 단편소설, 르포 등 11편에 이르는 친일작품을 양산한다.
1948년에는 정부수립과 동시에 문교부 초대예술과장이 되고 11개월 후 퇴임한다. 정부수립 후 한국문학과협회 창립과 동시에 시부 위원장으로 취임한다. 1981년에는 전두환 대통령 후보를 위한 텔레비전 지원 연설을 하는데, 이 일로 문단 안팎의 거센 비난을 받는다. 2000년 10월에 부인이 사망하고, 뒤이은 12월 24일 별세한다. 2002년 2월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이 자체 조사하여 발표한 일제하 친일 반민족행위자 1차 명단(708명)에 포함되었다.
2. 작품활동
①화사집(1941)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학동 외, 《서정주 연구》, 새문사, 2005
정봉래, 《시인 미당 서정주》, 좋은글, 1993
송하선, 《서정주 예술언어》, 국학자료원, 2000
박호영, 《서정주》,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장창영(1997), 서정주 (徐廷柱) 시의 시간특질 연구 - 영원의식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홍예영(2000), 서정주 시의 시어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참고사이트
http://www.seojungju.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