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

 1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1
 2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2
 3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3
 4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4
 5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5
 6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6
 7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7
 8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육사론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육사론
Ⅰ.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활동
1. 생애
육사 이원록은 1904년 5월 18일 경북 안동군 도산면 원촌리에서 진성 이씨 아은 처사 이가호와 김해 허 씨의 5형제 중 둘째로 출생한다. 퇴계 이황의 14대손이며, 문과에 급제하여 삼사를 거쳐 형조 참판을 지낸 사은 이구운은 그의 6대조다. 그의 처음 이름이 원록이었고, 뒤에 원삼으로 불렸으며, 활(活)은 스스로 부른 이름이다. 자는 태경, 육사 이육사의 이 호는 1927년 ‘장진홍 의거’에 연루되어 감옥에 갇힌 뒤 그 수인번호 264번을 기억하기 위해, 즉 피압박민족의 설움을 잊지 않기 위해 만든 것이다.
는 호다.
그는 5세 때부터 조부 치헌공 중식에게 한문을 배웠고, 12세에는 조부가 숙장인 예안의 보문 의숙에 백형 원기를 따라다니며 신학문으로 견문을 넓혔으며, 16세에는 녹전면 신평동(속칭 ‘듬벌이’)로 이사, 대구 남산동으로 이주한 20세 때까지 살았다.
육사는 17세 때 숙제(叔弟) 원일과 대구로 나와 석재 서병오 밑에서 그림 공부를 하여 후일 상당한 진경을 보였고, 18세 때는 영천 안용락의 따님과 혼인했고, 이듬해에 영천 화북면 백학 학교에서 이명선, 백기만 등과 6개월간 공부하다가 대구 교남학교로 옮겨 잠시 다닌 듯하다. 20세 때 일본에 건너가 약 1년간 머무르면서 와세다 대학에 적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독립 운동이 구체화한 것은 백형 원기, 숙제 원일과 함께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 군정서 의열단에 입단, 활동하면서 부터였다.
22세 때 북경에 갔다가 23세에 귀국, 장진홍 의사의 조선 은행 대구 지점 폭파 사건 피의자로 원기, 원일, 원조와 함게 검거되어 학생인 원조는 나오고, 3형제가 2년 7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26세에 조선 일보 대구 지사를 경영하면서 기자로 활동했고, 광주 학생 사건으로 예비 검속되었다.
27세 때인 1930년 11월 대구 격문 사건에 연루되어 원일과 함께 대구 경찰서에 피검, 6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외숙 허규의 독립 운동 자금 관계로 만주에 들어갔다가 군관학교 학생 모집을 위해 귀국, 원조를 포함한 3인을 데리고 북경으로 가던 도중 만주 사변이 발생하여 3인은 3개월만에 돌아오고, 육사는 봉천에 머물렀다.
1932년 의열단에서 세운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에 제1기생으로 입교하여 약 7개월가량 수학한다 1기생이 되는 것은 사전에 의열단과의 관계가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의열단과는 밀접하게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이 증명된다. 따라서 이 학교 교육을 이수한 이육사는 최초로 본격적 사회주의 공부를 했던 것으로 불 수 있다.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는 조선의 독립과 만주의 탈환을 위한 한중 대일공동전선 결성의 한 성과이다. 졸업생들에게 공통으로 부과된 사명은 국내 노동자와 농민에 대해 혁명의식 고취와 제 2기생 모집 파견 이었다. 정식 이름은 중국국민정부 군사위원회 간부훈련반 제 6대인데, 이것으로 쓰게 된 이유는 일본과의 마찰을 피하려는 데 있었다.
. 31세 때 서울서 일본 헌병에 피검되는 등 생전에 17회 이상 투옥되었다. 북경 대학 사회학과에 적을 둔 것은 32세 때인 1935년경으로 추정된다.
1943년 모친과 백형의 소상에 참석하기 위해 북경서 귀국했던 육사는 동대문 경찰서 형사대와 헌병대에게 피검, 북경으로 압송되어 1944년 1월 16일 새벽 5시에 옥사했다.
2. 문학 활동
참고문헌
* 참고 문헌
김경복(2005), ‘이육사 사의 사회주의 의식 연구’, 한국시학회
김병택(2007), 한국 현대시인의 현실인식, 새미
김봉군 외(2005), 한국현대작가론, 민지사
김원호(2007), 현대시분석노트, 디딤돌
김점용(2006), ‘이육사 시의 숭고미’, 한국시학연구
문승준(2005), 우리시 100선, 성림
박지영(2004), ‘이육사의 시세계-전통적 미의식과 혁명적 실천의 결합’, 반교어문학회
손병희(2007), 한국 현대시 연구, 새미
신용협(2002), ‘이육사의 시정신 연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신용협(2001), ‘현대 대표시 연구’, 새미
정유화(2006), ‘응축과 확산의 시적 원리와 의미 작용-이육사론’, 현대문학이론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