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체 표기의 특징

 1  서기체 표기의 특징-1
 2  서기체 표기의 특징-2
 3  서기체 표기의 특징-3
 4  서기체 표기의 특징-4
 5  서기체 표기의 특징-5
 6  서기체 표기의 특징-6
 7  서기체 표기의 특징-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기체 표기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기체 표기의 특징
< 목 차 >
1. 서
2. 본
2.1. 임신서기석 발견
2.2. 임신서기석의 내용
2.3. 서기체와 한문 문장의 비교
2.4. 이후의 발전 경과
3. 결
서기체 표기의 특징
1. 서
기록을 통해 내용을 보존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 본연의 욕구라 할 수 있다. 이는 우리 민족에게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기원전부터 우리 고유의 문자인 가림토 문자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히 증명이 되지는 않았으며,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중국의 한자를 빌어 기록을 했다는 것이 정설로 전해지고 있다. 한문이 우리나라에 정착한 자세한 과정이나 확실한 연대를 말하기는 어려우나 고구려에서는 국초에 留記 100권이 있었던 것을 600년에 新集으로 改修하였으며, 百濟에서는 375년에 書記를 편찬하였으며, 신라에서는 545년에 國史를 편찬하였다고 전하니, 이로써 고대 삼국에서는 한문이 매우 일찍부터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어사개설(이기문, 태학사)
그러나 한자를 그대로 옮겨다 우리말을 기록할 수가 없었으며 한문으로 쓰면 문자와 언어가 맞지 않는다는 불편은 갈수록 더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불편에서 우리말은 그 어음, 문법적 특성에서 한어와 다르다는 의식을 갖게 되었으며,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에 맞게 표기하려는 연구가 거듭되었다. 이리하여 마침내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조선말을 표기하는 독특한 수법을 창안하게 된다. 조선어학사(허동진, 한글학회)
이는 한자의 음만을 사용하거나 뜻만을 사용하거나 음과 뜻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이 역시도 우리말의 어순과 중국어의 어순이 서로 다른 데에서 오는 불편을 해소하지는 못했다. 이에 한자를 우리말 어순에 맞게 기록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에서는 그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는 誓記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한다.
2. 본
2.1. 임신서기석 발견
1940년 경북 경주 석장사터에서 돌 하나가 발견되었다. 돌의 길이는 약 34cm, 너비는 윗부분이 12.5cm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진다. 두께는 약 2cm이고 냇돌의 자연석에 5행으로 74자를 새겼으며 1행 18자, 2행 16자, 3행 14자, 4행 16자, 5행 10자로 되어 있었다. 글자는 모두 알아볼 수 있었으며, 순수한 한문식 문장이 아니고 우리말식의 한문체였다. 우리말의 수수께끼(박영준시정곤정주리최경봉 공저, 김영사)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국어사개설(이기문, 태학사)
우리말의 수수께끼(박영준 외, 김영사)
국어연구사(박동규, 전주대학교 출판부)
국문자론(권재선, 우골탑)
조선어학사(허동진, 한글학회)
국어사 자료선집(한국어학연구회, 서광학술자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