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의 죽음

 1  해바라기의 죽음-1
 2  해바라기의 죽음-2
 3  해바라기의 죽음-3
 4  해바라기의 죽음-4
 5  해바라기의 죽음-5
 6  해바라기의 죽음-6
 7  해바라기의 죽음-7
 8  해바라기의 죽음-8
 9  해바라기의 죽음-9
 10  해바라기의 죽음-10
 11  해바라기의 죽음-11
 12  해바라기의 죽음-12
 13  해바라기의 죽음-13
 14  해바라기의 죽음-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6.04.16
  • 14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해바라기의 죽음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바라기의 죽음」
작가소개
◎개인적 상처를 예술로 숙성 시킨 유미리
- 유리미의 연보
1968년 요코하마에서 탄생(재일교포부의 빠징코기술자)
1969년 고모집에 맡겨짐
1971년 요코하마의 집으로 돌아옴
1980년 학예회에서 리어왕으로 인해 연극의 길,
어머니의 자살시도
1984년 고1중퇴 도쿄키드 브러더스에 입단
1988년 가시를 상실한 시계돌에서 헤엄치는 물고기 등 희곡발표
1991년 물고기의 축제희극발표 희곡문학상인 기시다구니오 문학상수상
1996년 풀하우스로 이즈미교카상 수상
1997년 소설가족시네마로 일본최고권위의 아쿠타가와상 수상
1998년 소설골드러시가 400만부를 상회 베스트셀러
1999년 주간포스트에 임신사실과 미혼모선언
2000년 사내아이출산, 소설 남자, 자전적 수기 생명 발표
유미리 도박에 빠진 아버지와 술집 접대부인 어머니 사이에서 조센진으로 태어났다.
가정은 그녀에게 보금자리가 아닌 전쟁터여서 양친의 부부싸움과 아버지의 구타, 어머니의 가출 같은 것들을 매일 이다시피 지켜봐야 했고 중학교 때부터는 어머니와 눈이 맞은 의붓아버지 밑에서 자라야 했다. 유치원 무렵 아버지의 친구로부터 성추행을 당했고, 학창시절 내내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혹은 다른 학생들보다 튀어보인다는 이유로 지옥 같은 이지메에 시달렸다. 중2 때 처음 시작해 18세 되는 해 완전히 집을 나오기까지 상습적으로 가출을 시도하는 문제 소녀였고, 그 기간 동안 미수로 끝난 몇 번의 자살 기도와 그 때문에 고1때 학교로부터 퇴학처분을 당하는 등 암울한 인생의 초년기를 보냈다.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개인사적 불행은 그녀가 21살 되던 해 청춘오월당 이라는극단을 결성하고 본격적인 문학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극적인 반전을 이루게 된다. 학창시절 자신을 괴롭히는 급우들을 피해 학교 도서관의 책들을 죄다 독파했던 문학적 바탕에 스스로 "인용할 것이 많아 좋다"고 할 만큼 드라마틱한 개인적 이력, 그리고 여기에 남다른 언어적 감수성이 더해져 일본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로 우뚝 서게 된 것이다.
유리미의 대표적 작품 ,
험난한 가족사를 경험한 작가들이 대부분 그렇듯 유미리 역시 초기에는 자신의 신산(辛酸)스런 가족 체험을 문학적 질료로 삼았다.
이즈미 쿄오까 상과 노마 문예 신인상 수상작:『풀 하우스』에서는 붕괴된 가족의 가장인 아버지가 가족들의 재결합을 꿈꾸며 새집을 지어 들어간다. 집(house)이라는 형식에 가정(home)이라는 내용물을 채워넣는다는 것인데, 가족 구성원 전원의 이름이 들어있는 문패로써 상징되는 아버지의 그 꿈을 그러나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버지의 초청에 응했던 두 딸 중 포르노 영화 배우인 작은 딸은 일찌감치 도망쳐버리고, 초점 화자인 큰 딸만이 남아 그들의 집에 다른 가족, 즉 노숙자 일가족이 들어와 사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이 소설의 결말이다.
아꾸따가와상 수상작: 동일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가족 시네마』는 부모의 별거로 흩어졌다 다큐멘터리 촬영을 위해 20년 만에 다시 모이지만 서로의 위선과 갈등 때문에 촬영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가족의 이야기다. 이는 가족의 붕괴를 다룬 유미리 소설의 결정판이라 높이 평가되고 있다. 뿔뿔이 흩어진 가족들이 이 소설에서 비로소 한 자리에 모인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며, 가족의 붕괴라는 주제를 가장 완성도 높게 그렸다는 점에서도 그러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대표작 두 작품은 한결같이 작가 자신의 가족에 얽힌 자전적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상 두 이야기의 공통된 끝맺음은(「풀 하우스)와 「가족 시네마) 가족관계에 생긴 깊은 균열이 그리 손쉽게 메워질 수 없음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재외 한국인 작가들에게 우리가 제일 먼저 갖게 마련인 궁금증, 즉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유미리는 얼마나 의식하고 있을까? 그 의식의 작품 투영여부는?
이에 대한 유미리의 작품세계에 대해서는 주로 두 가지 해석으로 나누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