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

 1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1
 2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2
 3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3
 4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4
 5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5
 6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6
 7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7
 8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8
 9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9
 10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10
 11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6.04.16
  • 11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춘향의 이 중적인 모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report >
춘향의 이중적인 모습과
이에 대한 생각들
목 차
▶ 춘향전과 성춘향은 무엇인가?
▶ 춘향에게서 엿보이는 여인네의 모습 - 진취적 모습과 절개
▶ 춘향에게서 엿보이는 또 다른 모습
- 정절녀?! 요부?!, 그리고...
▶ 춘향을 통해 본 시대상은?
성관념과 성장된 서민의식, 그리고 탈봉건적 모습
▶ 남성의 시각에서 봤을 때의 춘향과 현시대의 춘향의 모습은? 마무리...
덧붙임 1 ▶ 참고 문헌 및 인터넷 URL, 논문 목록
덧붙임 2 ▶ 관련 논문 요약
▶ 춘향전과 성춘향은 무엇인가?
‘줄리엣’이라는 한 소설 속 여주인공을 영국인들이 모를 리 없듯이, 우리나라에서 살펴보았을 때, 그것이 소설이든 혹은 영화든, 전해오는 이야기든, 누구나 떠올릴 수 있고, 그만큼 친숙한 누군가 - 캐릭터 - 가 있다면 누구일까? 사람들이 손꼽을 수 있는 인물 중에 한 사람은 바로 ‘성춘향’이라는 에 등장하는 한 여인일 것이다. 그만큼 성춘향은 우리나라사람들에게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 캐릭터인 셈이다. 연극으로, 영화로, 창극으로, 혹은 라디오와 TV를 통해 우리는 ‘춘향을 수십 번 만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을 직접 읽어본 사람은 백에 하나를 꼽기가 힘들 정도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너무나도 줄거리를 잘 알고 있는 것이 그 하나이고, 시중에 나와 있는 이래야 아동용 혹은 저질이거나 아니면 전문가들을 위한 연구서이기에 일반 독자들의 손과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 번도 읽은 적이 없으면서도 의 줄거리는 거의 비슷하게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비록 직접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TV나 라디오 혹은 영화와 연극으로 많이 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실 우리가 듣고 본 것은 에 관한 것이지 그 자체는 아니다. 직접 읽어보지 않고는 느낄 수 없는 재미를 은 분명히 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번 ‘국문학개설’ 강의 시간을 통해나마 많이 접할 수는 있었지만, 정작 그 실체는 볼 수 없었던 작품들을 읽게 되어서 한국인, 그리고 국어, 국문학을 공부한다는 입장에서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되는 바이다.
‘국문학개설’의 마지막 관문이기도한 에세이를 쓸 준비를 하면서 주제를 무엇으로 정할지는 고민스러운 부분 중에 하나였다. 일단 이러한 성격의 글은 처음 써보는데다(일단 중고등학교 때의 독후감과도 다르니 말이다), 그렇다고 읽은 작품들을 완전히 꿰뚫고 있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택하게 된 작품은 가장 널리 읽혀 나에게도 친숙한 동시에 여러 가지 이야기, 사상을 담고 있는 이다. 그리고 그 많은 사상과 이야기를 담고 있는 중에서도 지금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작품 속 춘향의 행동, 특히 남녀사이에 있어서의 행동, 사고방식에 대한 것들이다. 주제 선택에 대한 직접적인 이유는 일단 언뜻 이야기로만 들었던 춘향전의 이면, 속된 표현으로 ‘야한 부분’에 대한 여러 언급들과 이에 얽힌 정절의 표본인 춘향. 왠지 궁금해졌기 때문이다.
▶ 춘향에게서 엿보이는 여인네의 모습 - 진취적 모습과 절개
은 광한루에 구경나온 이도령이 근처 숲 속에서 그네 뛰는 춘향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방자에게 물어보니 기생 춘향이라고 한다. 이도령은 방자를 시켜 춘향을 데려오게 한다. 이때 춘향은 자신이 평소 지녀오던 뜻을 이도령에게 거침없이 이야기 한다.
“평생에 원하기를 열녀불경이부지행만 본받고자 뜻일러니 한 번 인연 맺은 후 부창부수하고 여필종부하여 유자유손 뜻일러니...” 신동흔, 춘향전 주제 양식의 변화양상 , 판소리연구 8(판소리학회,1997.12.), p.17. : ‘춘향을 돋보이는 열녀의 이미지로 만들려했다는 점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