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

 1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1
 2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2
 3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3
 4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4
 5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5
 6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6
 7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미의 이름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보고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묘사한,
사랑에 접근을 방해하는 교만의 형태
1. 기독교 세계관에서의 사랑
예수는 늘 제자들에게 형제를 사랑하며, 원수도 사랑하라고 가르쳤다. 또한 다른 이를 사랑하는것은 곧 자신을 사랑하는 일이라 가르쳤다. 한편 사도 바울은 믿음, 소망, 사랑 중 사랑이 제일이라 하였다. 기독교의 신앙의 큰 줄기는 곧 사랑이다. 예수와 바울이 말하듯, 믿음보다도 중요한 것이 곧 사랑인데, 흔히 보이는 교회의 문제는 이런 사랑에 대한 그릇된 이해에서 비록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한국 교회의 문제, 진정한 사랑이 존재하지 않는 세속화된 교회 공동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서사한 움베르트 에코의 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텍스트는 움베르트 에코의 원작 소설 이 아닌, 장 자크 아노감독의 (1986)를 택하였다.
은 그 시대적 배경이 12세기, 이탈리아의 한 수도원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에도, 그 속에서 묘사되는 교회의 문제은 한국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와 많은 점에서 닮았으며, 또한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기독교적 사랑에 대한 정의는 한국 교회가 나아가야 할 전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1327년, 이탈리아 북부의 한 베네딕트 교단의 수도원에서 채식사 아델모가 시체로 발견된다. 이때 이 수도원에 프란체스코 교단 수도사인 바스커빌의 윌리엄이 그의 제자 아드소를 이끌고 나타난다. 윌리엄은 날카로운 관찰력과 직관을 가진 명석한 수도사이며 당대의 유명한 철학자 로저 베이컨의 제자였다. 윌리엄은 당시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던 황제측과 교황측의 회담을 중재하기 위해 이 수도원에 파견되었지만, 수도원장의 부탁에 따라 수도원장에서 발생한 의문의 살인 사건에 대한 수사를 시작한다. 그러나 일곱 천사가 한 명씩 나팔을 불때마다 지상에서의 재앙이 벌어지며 천사들이 나팔을 다불게 되면 적그리스도가 출현하고 세계의 종말의 날이 도래한다는 요한 계시록의 예언을 본딴 연쇄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희생자들은 각자 예언의 재앙을 상징하고 있었던 것이다.
묵시록적인 분위기로 수도원이 술렁거리고 윌리엄과 아드소는 범인의 실마리를 찾아 동분서주하는데, 교황이 파견한 베르나르도 귀가 도착하면서 일은 더 복잡해진다. 한편, 아드소는 수도원 안에서 이 마을의 여자 하나와 같이 밤을 보내게 되고 죄책감과 사랑 사이에서 괴로워하는데, 그 여자는 베르나르도 귀에 의해, 수도원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되고, 마녀로 몰려 화형당할 처지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사 한 명이 더 살해당하자, 윌리엄은 모든 살인 사건의 수수께끼를 풀고, 수도원의 장서관에 잠입하여 진정한 범인(호르헤 수도사)을 잡는다.
등장 인물들의 갈등의 중요한 대립의 축은 윌리엄과 베르나르도 귀이다. 그리오 윌리엄과 호르헤 수도사 사이의 갈등, 그리고 윌리엄과 그의 제자 아드소 세 개로 압축이 된다.
2. 진리를 대한 교만
수도원에서, 계속되는 살인과 또 잡히지 않는 범인과 알 수 없는 그의 동기는 당시의 수도사들에게는 이해 할 수 없는 성질의 것이었다. 수도원장은 처음에 윌리엄에게 조사를 의뢰를 했으나, 사건이 신속히 해결되지 못하고 의문의 살인사건이 계속되었다. 결국 교황청에 요청하여 수도원에 오게 된 조사관 베르나르도 귀가 수사에 착수한다. 같은 살인 사건을 두고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는 상당히 크다. 먼저 수도원에서 발생한 첫 희생양인 채식사는, 탑 아래에서 그 시체가 발견되었는 데, 그 탑에는 창문이 열려있지도, 혹은 깨져있지도 않았다. 즉 탑에서부터 추락한 흔적은 없는 데, 그의 시체는 탑 아래에서 발견되어, 수도원장을 비롯한 모든 수도사들은 그의 죽음이 악마에 의한 것이라 단정짓지만, 윌리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윌리엄 : 만일 탑에서 추락한 게 아니라 저쪽에서 떨어져서 여기까지 굴러올 가능성은 없겠느냐? 그럼 악마는 필요없게 되지.
한편 후에 도착한, 베르나르도 귀는 한 밤중 수도원 내에 잠입하여, 어느 부패한 수도사와의 잠자리를 통해 음식을 구걸하는 이름없는 소녀를 발견하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윌리엄은 처음부터 무리하게 악마의 존재를 전제하지 않고, 사인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포착하여 실마리를 풀어나가 인간으로서의 범인을 밝히려 한다. 베르나르 귀는 처음부터 이 모든 소행을 악마의 짓으로 단정짓고, 수도원 내에서 부정한 짓을 한, 한 마을 소녀를 마녀로 지목하여 사건을 종결하려 한다. 베르나르 귀가 사용한 수사방법은 권위주의다. 그는 그 마을 소녀가 마녀인 것에 대한 증거로서, 검은 수탉과 검은 고양이를 소유했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나 검은 수탉과 검은 고양이를 소유하는 것은 악마를 위한 제사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가지의 경우의 수, 특히 음식을 위해 소유하는 경우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능성은 원척적으로 차단하는 비이성적인 태도를 보인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