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

 1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1
 2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2
 3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3
 4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액션 코미디 영화에서의 육체의 재현과 정체성9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육체의 재현과 액션 코미디영화.
2000년대 한국의 액션코미디영화는 육체의 재현과 관련. 세 가지의 특이성을 보여준다.
1. 이전 시기와 다른 체현된 자아와 재현 방식의 변화.
2. 남성 육체의 재현을 통해 등장인물의 정체성, 갈등 그리고 욕구를 보여준다.
3. 이전의 영화들에서는 주로 시선의 주체인 남성이 여성의 육체를 응시하는 것이 일반적 이었지만 이시기에 들어와서는 시선의 주체가 여성이며 대상인 남성의 육체를 응시한다 는 점에서 이전과 차이를 나타낸다.
2. 육체와 정체성 그리고 체현된 자아
육체 담론은 그 이전 시기의 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이 깔려 있다. 테카르트의 코키토는 비신체적 마음이 최고의 군람지가 되어 육체라는 물질에 대항하고 있다. 이것은 비신체성 혹은 알튝화 시각중심주의와 독백주의롤 대표하고 있으며 시각중심주의와 짝이 된 몸의 주변화 혹은 몸의 권활탈최가 독백조의 혹은 반사회적 원리로 귀결된다. 이성에 중심으로 둠으로서 계몽주의는 육체 여성 자연 비서구라는 네가지 주제를 주변화시키고 권한을 빼앗아 버리나다. 이성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포스트모던의 과제로 육체 담론의 흥성에 대한평가는 비열한 괘찰추구라는 견해와 현실 세계의 다양성을 밝히고자 하는 시대정신의 표출이라는 결해로 나뉜다. 탈산업사회 소비문화의 성장에서 욕구와 개성이라는 현상이 문화로 드러나는 양상이 ‘육체담론’이다
데카르트의 정신과 신체의 역관계 규칙에 의하면 신체가 능동적일때 영혼은 수동적이고 영혼이 능종적일 때는 신체는 수동적이다. 하지만 스피노자에 의하면 영혼에서 능동인 것은 신체에서도 능동이며 신체에서 수동인 것은 영혼에서도 수동이다. 스피노자의 정신과 신체의 평행론의 요체는 인과성의 관계를 부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둘 사이에 어떤 우월성도 인정하지 않는 것에 있다. 니체의 말처럼 사람들은 의식 앞에서 놀라지만 놀라운 것은 오히려 신체인 거다. 평행론의 실천적 의미는 의식에 의한 정념들의 지배 기획으로서의 도덕이 기초하고 있는 전통적인 원리의 전복 속에 있다. 푸코는 육체에 대한연구는 오래전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20세기 전반기 까지도 육체의 문제를 부각시킨 것은 특별한 경우에 불과하다. 육체가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이론적 탐구의 주제가 된 것은 1960년대 이후에 본격화 되었다. 지적의 교차점은 사회사에 대한 관심 ,정신분석학 이론, 페미니스트 이론이다.
얼굴과 육체를 통해서 우리는 영혼과 마음의 상태를 들여다 볼 수 있다고 말한다. 비트겐 슈타인은 얼굴이란 육체의 영혼이고 지상의 가장 흥미로운 표면이자 육체의 가장 잘 드러나면서도 가장 표현적인 부분이다. 라고 말한다.
자아 성찰적 방식은 후기 근대사회를 규정짓는 특징이며 젊고 가꾸어진 육체에 전례 없는 가치를 두는 시대에서 자아를 상징하는 것은 몸의 표면이다. 육체는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래서 체현댄 자아를 올바르게 개념화해야 사회적 행위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규율과 시선 그리고 복종하는 육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