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

 1  묵자 -1
 2  묵자 -2
 3  묵자 -3
 4  묵자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묵자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묵자
1. 묵가의 등장 배경
춘추(春秋)시대는 존왕(尊王)의 기치를 내걸고 주나라 왕을 정신적인 지주로 인정하던 시대이자, 오로지 힘과 힘으로 대결하는 약육강식의 시대였다. 춘추시대는 공자가 지은 『춘추』가 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81년 사이의 역사를 싣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춘추시대는 주나라 왕실의 세력이 약해져 천자의 위력이 없어지고 제후들이 강성해져 차례로 다섯 제후국이 패권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를 춘추오패(春秋五覇)라 한다. 춘추오패는 제(齊)나라 환공(桓公), 진(晉)나라 문공(文公), 초(楚)나라 장왕(莊王), 오(吳)나라 부차(夫差), 월(越)나라 구천(句踐)을 가리킨다. 공상철 외,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다락원, 2011, 88p
묵자는 춘추시대의 사람인데 특히 묵자가 살던 때는 강대국들이 약한 나라를 집어삼켜 대다수의 약소국들이 엄청난 고통을 받는 겸병 전쟁이 극심하던 시기였다. 전쟁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민중의 고혈을 짜 막대한 세금을 거둬들여야 했으며, 성을 쌓고 무기를 만들어 직접 전쟁에 나가 싸우는 일도 민중의 몫이었다. 김교빈·이현구, 『동양철학에세이』, 동녘, 2006, 93p
여기서 묵자가 살던 때라 함은 공자(孔子)가 죽은 지 몇 년 뒤인 주(周)초기에 제정된 봉건적 계급제도가 급속히 무너지고, 중국이 작은 나라로 나눠져 서로 패권 다툼을 하는 어지러운 상황을 말한다. 춘추 전국 시대부터 이어진 전쟁은 크고 작은 나라를 할 것 없이 여기저기에서 정벌전쟁이 일어났으며, 꼭 나라끼리의 전쟁이 아닌 제후국 안에서의 내전 또한 빈번했다.
춘추시기로부터 제후국 사이의 정벌전쟁이 이미 만연했고, 전국시기에 이르러서는 더욱 치열하였다. 역사가 진행될수록 전쟁의 규모도 커지면서, 각국에서는 징병제도가 실시되었다.
전국 초기에는 소국에 대한 겸병이 위주가 되어, 전쟁에 참가하는 인원이 수만 명이었던 것이 중기에는 수십만, 경우에 따라서는 백만 명에 달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기간적으로는 하루 또는 며칠간이었던 것이 전국시대에는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전쟁이 지속되었다.
2. 묵가의 생애
성은 묵(墨)이요 이름은 적(翟)이다. 생존연대는 확실하지 못하나 대체로 기원전 479-381년 혹은 기원적 약468-376으로 추정된다.
공자는 초기 주나라 때의 전통적인 제도 예악과 문물을 동경하여 논리적으로 이들을 합리화 내지 정당화하려고 힘썼던 반면, 묵자는 그 제도 등의 타당성과 효용성에 회의를 품고 이들을 좀 더 유용한 것으로 대치시키려고 하였다. 묵자에 대해 적은 책 『묵자서』를 보면 그는 노나라에서 태어나 천인, 평민 혹은 기술자를 자처하면서 하층민에 속해 그들의 입장에 서서 전쟁을 바라보고 비판하였다. 또한 그들과 무의미한 희생이 반복되는 전쟁을 보며 결국 전쟁의 끝은 무고한 민중의 죽음과, 나라의 황폐화밖엔 남는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한탄하는 것을 반복했다.
묵자는 천하의 혼란을 평정하려면 반드시 혼란의 근원을 살펴야 한다고 여겼다.
묵자는 원인을 사람들이 서로 사랑할 수 없는 데에 있다고 보았다. 이런 상황의 연속을 끊고자 묵가는 묵가 사상의 기둥이 되는 겸상애설(兼相愛說)을 주장하였다. 인간충돌의 근본원인을 서로 사랑하지 않음(不相愛)을 서로 겸하여 사랑함(兼相愛)으로 직접 전환시키려 하였다. 그리하여 ‘겸애(兼愛)’는 묵가사상의 대표개념으로 이해되어진다.
3. 묵가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