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과정의 1970년대의 시

 1  산업화과정의 1970년대의 시 -1
 2  산업화과정의 1970년대의 시 -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업화과정의 1970년대의 시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970년대는 유신체제라는 독재정권의 정치적 상황과 급격한 산업화라는 경제적인 상황이 맞물리면서 사회·경제적인 갈등이 빚어지는 시기로써, 계급 분화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 민주화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의 문제, 도시 노동계급과 농민의 소외 문제 등이 전반적인 갈등의 형태였다. 당대의 시인들은 이러한 사회의 부조리와 구조적모순에 대응하고자 하였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시들이 창작되었다. 70년대는 60년대의 특성을 배경으로 거느리는데 위와 같은 시대적 상황이 변증법적 극복을 가능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1970년대 시단은 언어적인 해체와 일상적 경험의 획득, 시 형식의 개방화를 모색하는 과정에서의 시어와 일상어의 동일시현상, 시의 산문화 경향을 통해 무절제의 미학을 추구하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 또, 1970년대 시단의 또 다른 특성의 하나로써, 1960년대의 순수와 참여 문학의 논쟁이 계승·발전된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1970년대의 민중시, 모더니즘, 도시파 각각을 대표하는 시인과 작품을 중심으로 1970년대의 시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소외된 자들을 위한 시
1970년대의 시대적 특징은 산업화로 요약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추진된 경제개발 정책의 급격한외형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농촌의 불균형, 계층간 갈등, 노사대립 등 많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 시대의 시단에서 가장 뚜렷한 시적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김수영·신동엽을 계승한 참여파로 지칭되고 있는 시인들의 민중 지향적인 시적 작업이다. 이 시인들의 시는 1960년대 후반의 김수영·신동엽이 쓴 시에 비해 한층 높은 강도를 지닌 도전적인 것이었다. 시인들은 전태일의 분신사건 이후 격렬하게 전개되던 노동운동을 통해 소외된 이들의 삶과 정치 민주화 운동을 함께 발견하게 된 것이다.
동시대의 민중시 시인으로는 신경림, 김지하, 정희성, 조태일, 이시영, 김준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김지하와 신경림을 중심으로 당대의 민중시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김지하와 신경림
김지하는 1969년 「황톳길」로 시단에 등장하여 그 이후 당대의 모순된 구조를 총체적으로 비판하는 성격의 시세계를 보여준다. 민중시의 성격을 가장 잘 반영한 시로「타작」,「지옥Ⅰ」, 「오적」을 들 수 있다. 시 「타작」은 돌아가는 탈곡기를 보며 세상도 돌기를 바라고 있는 작품이다. “해야 밀탁배기 한 사발에/ 취해 돌아라”와 같이 즉 “해”가 “밀탁배기”에 “취해”서 돌기를 바라는 것과 같이 농민들의 세상도 돌아 바뀌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농민들의 세상이 “죽도록 걷우어 남 좋도록만 되”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작품 「지옥Ⅰ」역시 노동계층의 한(恨)의 정서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갓 스물된 청년이 ‘남진’과 같은 가수가 되겠다는 꿈을 안고 서울에 상경하지만, 재주도 인맥도 지연도 없어서 결국 “시커먼 영등포”의 공장에 취직하게 된다. 그러던 중 작업을 하다가 손가락을 잘리고 “추억 하나도 남기지 않고 잘려나간”자신의 세월을 생각하며 결국 자신이 “낡아빠진 /가와모도 반절기”의 신세였음을 깨닫고 있는 것이다. 김지하는 또한 「오적」이란 시를 통하여 소외계층에게 아픔을 준 대상을 찾아내려 비판하려는 태도를 보여주기도 한다. 여기서 오적이란 재벌, 국회의원, 고급공무원, 장성, 장·차관을 인간의 부류에 들지 못하는 동물로 취급하고 풍자한 것이다.
김지하의 시세계는 민중을 주체적인 대상으로 보지 않고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민중들이 스스로 사회적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식인이 이끌어야 한다는 입장은 지식인으로서의 책무라고 볼 수 있으나 지나치게 민중을 수동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그 무슨 가난이 있겠느냐 도둑이 있겠느냐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신동욱,「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 맹문재, 「한국민중시문학사」, 박이정, 2001
· 이승하 외, 「한국현대시문학사」, 소명출판,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