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

 1  실학 -1
 2  실학 -2
 3  실학 -3
 4  실학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한국사]실학의 태동
  • [고전문학] `실학사상`과 `국문학` 연구
  • [실학사상] [실학] 조선시대 실학사상(실학의개념,실학의이념,실학의배경)
  • [실학사상] 실학(실학사상)의 개념, 실학(실학사상)의 발생과 유형, 실학(실학사상)의 연구분야와 학문방법론, 실학(실학사상)의 대표적 사상가, 실학(실학사상)의 개화사상으로의 발전, 실학(실학사상)의 한계 분석
  • [실학, 실학사상, 실학파] 실학(실학사상, 실학파)의 유형, 경세치용학파(중농학파) 실학사상(실학파), 북학파(중상학파, 이용후생학파) 실학사상(실학파), 실사구시학파(실증적고증학) 실학사상(실학파) 분석
  • 실학에 관한 고찰
  • [실학][실학사상][실학파][실학자][실학사상의 영향][실학사상의 의의]실학사상의 정의, 실학사상의 특징, 실학사상의 주요내용, 실학사상의 학파, 실학사상의 학자, 실학사상의 영향, 실학사상의 의의 심층 분석
  • [실학자][실학사상][홍대용]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과 생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기이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상대관적 질서관, 실학자 홍대용의 사회개혁적 정책론
  • [실학사상][실학자]실학사상의 의의,경향, 실학사상의 시대적상황,주요내용, 실학사상의 실학자, 실학사상의 연구분야 분석
  • [실학주의교육] 실학주의 교육운동의 배경, 실학주의 교육의 유형(인문적 실학주의-밀턴, 사회적 실학주의-몽테뉴, 감각적 실학주의-라트케, 코메니우스)
  • 소개글
    실학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학
    1.이기론
    1) 이기론의 유래와 개념
    주자는 천지사이에 이(理)와 기(氣)가 있고 이는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본이고 기는 만물을 생성시키는 도구라고 보았다. 주희는 형이상학의 도로써 이(理)는 형체도 근본도 없지만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영원자이고 이(理)가 없으면 천지도 없고 인간도 없고 사물도 없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이(理)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기(氣)라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사람이 말을 탄 것과 같다고 보았다. 그러나 사물상으로 보면 서로 뒤섞여 있어 구분할 수 없으며 부여받은 바에 따라 기가 먼저 존재하고 이는 따라서 존재한다. 그러나 이치상으로 보면 이가 먼저 존재하고 기는 따라서 존재한다고 보았다. 정일균, 「다산 정약용의 이기론 비판 - 『논어고금주(論語古今注)』를 중심으로」, 한국학보, 1996, p86 - p89.
    주자는 이선기후(理先氣後)의 형식을 따랐다.
    2) 정약용의 이기론에 대한 입장
    당시 조선은 주희의 성리학이 주류였는데 이 성리학을 가지고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로 나뉘어서 서로 다투고 현실세계에 치중하기 보다는 오히려 교조적인 학문으로 가는 추세였다. 이에 반하여 정약용은 이 두 학파의 학론들을 종합하여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첫 번째로, 성리학의 이기론 에서는 만물이 존재하지만 이 만물 속에 담겨있는 공통된 하나의 진리를 이(理) 라고 보고 기(氣)는 모든 만물들은 각각의 존재로 그리고 다른 존재들과 구별되게 해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즉 이는 하나이지만 개체는 각각의 존재라고 보았던 것인데 정약용은 이 이일분수(理一分殊)를 비판적으로 보았다. 정약용은 하나로 통일시키기보다는 이질적인 존재들이 이 세상을 이루고 이들은 각각의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두 번째로 성리학은 성은 이를 받은 후에 생기고 형은 기를 받은 뒤에 생기는데 이 성(性)과 형(形)의 복합체가 인간과 만물이라고 보고 있다. 위와 같은 논문, p105 - p106.
    만물과 인간이 공통으로 같은 것은 본연지성, 다르게 구별해주는 것은 기질지성이라고 말하고 본연지성은 인간 만물이 동등하게 공유하고 성격상 지선(至善), 순선(純善)하다고 보고 기질지성은 인간과 만물이 생겨날 때 받은 기의 성질의 차이에 따라 각각 귀천의 구별이 있고 성질은 유선(有善), 유악(有惡)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정약용은 이러한 본연지성의 개념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이론을 만든다. 정약용은 성리학의 본연지성을 허구적이고 불합리한 개념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성리학에서의 주장대로라면 만물이 공통된 성질을 가지고 있으니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동물도 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약용의 해석에 따르면 본연이라는 말이 성리학에서는 ‘본래부터 스스로 그러하기 때문에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정약용이 보기에는 인간은 부모에서 받은 몸과 천명에서 받은 정신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본연이라는 의미가 적당치 못하다고 생각했다. 위와 같은 논문, p109 - p111.
    또 정약용의 관점에서는 유형(有形)의 세계 안에서 모든 존재는 그 형체에 있어서 본래적으로 귀천(貴踐),미악(美惡)의 등급이 있고 이에 상응하여 그 성질에서도 본래의 등급이 있다고 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정약용은 인간의 성은 기라는 바탕 위에 초목과 같은 생명, 금수와 같은 지각(知覺)이 있지만 인간에게는 고유한 도의지성(道義之性)으로 구성되었다고 보았다. 인간과 만물이 구별이 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세 번째 로는 정약용은 주자학의 인(仁)의 개념도 다른 방향으로 생각했는데 주자에서 이 는 본체(本體)이며 형체가 없는 도와 성이고 이를 이루는 요소는 네 개의 덕(인의예지) 이라고 보고, 기는 끝과 쓰임(末用) 이고 형체가 있고 도를 담는 그릇과 정이며 기를 이루는 것은 사단(四端) 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정약용은 사덕은 높고 멀리 있는 대단한 것이 아니고 사람들 간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실천 한 후에 성립되는 것이라고 보았고, 이 이(理)를 이루는 것은 덕이 아니라 효(孝),예(藝),제(弟) 인 것이라고 보았다. 즉 주자학에서는 이(理)가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면 그 이에 상응하는 사단의 마음이 일어나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는데 정약용은 먼저 원인인 도심(道心)이 일어나는 동시에 실천행위 또한 시작되어 결과로 주자학에서 말하는 사덕, 즉 이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즉 먼저 마음으로 생각하여 그것이 행동으로 발현되는 것 이 아니라 마음에서 생각함과 동시에 행위가 발현된다고 보았다. 그렇지 않다면 기틀은 있으나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쓰임이 없는 무용한 것으로 보았다. 그렇기에 정약용은 이기론이 현실적인 실천과 연결되지 않으면 지식 자체는 아무 소용이 없다는 실용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위와 같은 논문, p95 - p98.
    이러한 입장들을 바탕으로 정약용은 인간의 성은 한 가지 몸에 세 개의 성질(氣,生命,知覺)이 오묘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은 채로 존재하기 때문에 성 자체를 본연, 기질 로 나눠서 구별하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보았다. 인간과 여타 생명들이 가진 만물들의 성은 각자의 기호 일뿐이며 인간의 성은 인간이 덕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럽게 여기는 성향으로서의 기호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정약용은 현실(有形)세계와 관련하여 성리학과 다르게 기를 독립적인 존재로 보고 이의 선재(先在)성과 주재(主宰)성을 부정한다. 위와 같은 논문, p114 - p115.
    2. 성기호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