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

 1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1
 2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2
 3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3
 4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4
 5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최후의 전투, 노량해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량해전 이후의 상황
2. 조선수군의 고금도 이진
3. 명나라 수군의 합류
4. 노량해전의 발발
5. 노량해전의 전투경과
6. 노량 해전의 의의
본문내용
2. 조선 수군의 고금도 이진 (무술년(1598년) 2월 17일)
->출처 『이충무공 전서』 권9, 부록1 이분 찬 「행록」ꡒ무술년 2월17일 이진고금도.ꡓ

1) 고금도 이진의 배경
-이 때는 고하도에서의 충분한 기반을 가지고 위세도 장하게 행군함
-일본 수군 주둔 상황 - 가토 기요마사 (가등 청정) : 울산, 고니시 유키나가 (소서 해장) : 순천, 시마즈 요시히로 (도진 의홍) : 사천, 소조천 수추 : 부산 - 그 중, 고니시 유키나가에 대처하고 남해상의 주도권 장악 의도
-호남 좌우도 바다를 제어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위치
-식량 생산 가능 (섬 안에 농장, 농경지가 넓고, 유입인구가 많음)

2) 전쟁에 대한 준비
-둔전과 염전관리를 통한 군량의 확보 : 명나라 수군의 합류사실이 통보 이순신, 『난중일기』 정유년 11월 29일
되면서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됨.
-병력모집 :노량해전 참전 당시 약 1만여명 규모였을 것으로 추정.


3. 명나라 수군의 합류

1) 명 수군의 참전 배경
-해상을 통한 일본 수군의 명(明)나라 직접 공격에 대한 걱정
-정유재란 이전에 수군의 파병을 결정한 상태였으나 칠천량 해전에서 조선 수군이 패하고 연이어 남원과 전주가 함락되자 이를 실행에 옮김
참고문헌
『이충무공 전서』
『사료로 보는 임진왜란, 싸워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국립진주박물관, 혜안, 1999
『임진왜란과 도요토미 히데요시』국립진주박물관, 부․키, 2003
『이순신은 전사하지 않았다』 남천우, 미다스북스, 2004
『완전한 승리, 이순신의 18해전과 7대 전승 비결』 노병천, 성현 출판사, 1998
『Samurai invasion : Japan's Korean war, 1592-1598』Stephen Turnbull, London: Cassell, 2002
『일본 사회의 역사』아미노 요시히코, 소화, 2001
『다시 쓰는 임진대전쟁』 양재숙, 고려원, 1994
『임진왜란 해전사 연구』이민웅, 서울대 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