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1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2
 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3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4
 5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5
 6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6
 7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역사
1) 생활보호제도
한국의 빈곤정책에 관한 기본시책을 정한 시기는 1948년 7월 17일에 제정 공포된 "대한민국헌법" 제19조의 노령 질병 등 생활무능력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 규정으로부터 비롯된다. 그러나 정부수립 직후 한국의 빈곤정책은 종래 구빈행정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정책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구체적 하위법령과 예산의 뒷받침이 있어야 하는데 당시의 경제사정이나 사회적 상황은 그렇지 못하였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의 빈곤정책은 국가가 주체가 되거나 전문사회복지가 개입된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보다는 민간이 주체가 되었고, 자발적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구호의 내용은 극히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였고, 자선적이며 사후대책적이었고 비전문적인 것이었다.
주요사업으로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전재민의 의식주와 후방 국민의 기본생활 수요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호사업이나 전쟁고아를 위한 수용 보호지원 및 관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1950년 8월 4일에는 "피난민 수용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제정 공포되어 전재민 응급구호에 주력하게 되었으며, 특히 외국의 구호금품 중 미공법 480(Public Law)에 의한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는 당시 전재민 및 영세민 구호, 항해대책 등 구호행정에 커다란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1961년 12월 31일 "생활보호법" 이 제정되면서 빈곤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62년 12월 26일의 제6차 헌법 개정에서는 사회보장의 개념이 도입되고 그동안 복지행정의 준칙이 되어 왔던 "조선구호령"은 폐지되었다.
전문 47조에 부칙 3개 항으로 규정된 "생활보호법"은 제1조에서 본 법은 노령, 질병, 기타 근로능력상실로 인하여 생활유지의 능력이 없는 자 등에 대한 보호와 그 방법을 규정하여 사회복지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종전 "대한민국헌법" 제19조의 내용을 수용하면서 그 보호대상을 확대하였다.
또한 입법목적을 복지향상에 두어 단지 구호 차원을 벗어나 사회복지의 개념에 입각한 근대적 의미의 "생활보호법"으로서의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생활보호법"은 보호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한 것뿐만 아니라 보호의 종류도 생계보호, 의료급여, 해산보호, 상장보호 등으로 다양화하여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선으로 격상시켰으나(동법 제4조) 실제의 수준은 그렇지 못하였다.
이 시기의 사회복지 관련 법률들은 사회복지대상자의 자립정신과 자활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면은 자본주의 체제를 효율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국가가 사회보장은 행하되 자유시장체제를 철저히 보호함을 전제하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 대상 집단의 자립 자조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복지제공의 기준으로서 열등처우(less eligibility)의 원칙을 분명히 적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활보호법"은 소요를 방지하고 노동의 강요를 통해 자본주의적 산업화를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빈민의 생활안정보다는 빈민들로부터 초래될 잠재적 사회불안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이 법은 빈민을 노동시장으로 몰아내어 수출주도형 산업화 시대에 필요한 값싼 노동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였다.
이 시기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근대화 작업을 하던 시기로서 빈곤정책의 실제수준은 경제성장, 경제개발정책에 밀려 경제성장과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생계구호의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핵심내용을 요점/정리한 A+ 과제물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