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모더니즘 문학

 1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1
 2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2
 3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3
 4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4
 5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의 모더니즘 문학
1. 모더니즘 문학
- 기성 도덕과 전통적 권위를 반대하고 자유와 평등, 도시 생활과 기계 문명을 주요 제재로 삼는 문학적 경향.
- ‘모더니즘 문학은 현대의 기계 문명과 도시 생활을 중시하는 문예 사조로, 20세기 이후 유럽에서 일어났던 실험적인 문학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모더니즘은 전통적 관습과 사실주의, 유물론적 세계관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문학의 새로운 움직임이었다. 삶의 모습을 그대로 모방하는 사실주의 문학의 태도를 비판하고 예술 자체의 순수성을 주장했으며, 문학이 사상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없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모더니즘 문학은 문명 비판적인 성격을 강하게 담고 있으며 지식인의 고뇌와 허무 의식에 대해 말하고 있다. 한편, 표현 면에서 모더니즘 문학은 다양한 표현 기법을 시도하여 내적 독백이나 의식의 흐름과 같은 독특한 문학적 수법을 만들어냈다. 표현주의,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입체주의, 주지주의, 인상주의, 이미지즘 등이 모두 모더니즘 문학에 속하는 문예 사조들이다.
2. 우리나라의 모더니즘
- 우리나라의 모더니즘은 이미지즘(감정을 죽이고 시각적이거나 물질적인 이미지 자체에 충실하고자 하는 문예사조)과 주지주의(감정이나 행동보다 지성과 이성을 중시하는 문예사조)가 강세를 보였다. 소설가 최재서와 시인 김기림이 모더니즘 운동을 벌였고, 1930년대에는 정지용, 김광균, 이상 등이 한국 모더니즘의 대표 주자로 활동하였다. 그 뒤 1950년대에는 김수영, 박인환, 김경린 등에 의해 모더니즘 문학이 전개되었다.
1) 1930년대
- 시대적 배경
1930년대는 식민지 공업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기로, 세계 대공황으로 경제 위기에 처한 일본은 식민지 조선에 대한 수탈을 강화하는 한편 대륙 침략을 단행함으로써 위기를 탈출하려고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식민지 조선은 군사 기지의 목적으로 중화학 공업이 발달하게 되고 급속한 도시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1930년대의 모더니즘은 이와 같은 1) 시대적, 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2) 영미 모더니즘 이론의 영향에 의해 촉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시: 1920년대를 지배해 온 낭만주의 시의 주정적 경향에 반발하여 지성과 논리를 더 중시하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주요 작가: 최재서(모더니즘 도입), 백철(모더니즘 도입), 김기림(이론화 성공, 최초의 모더니스트), 김광균(작품화 성공, 회화성에 기초한 이미지즘 시창작), 이상(작품화 성공, 다다이즘적 성향), 장만영, 장서언, 정지용 등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특징: 영미시의 이미지즘의 도입으로 낭만주의 시의 감상적 격정을 배격하고자 하였으며 지성과 이성을 중시하며 대상에 대한 분석적 태도가 보인다. 또한 이미지, 회화성, 시각적 심상을 중시하였으며 시간성보다는 공간성을 더 중시하였다. 근대 문명적 요소와 소외된 도시 현대인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이상의 초현실주의 시는 전통에 대한 거부와 언어에 대한 실험 의식 및 내면 심리의 탐구에 중점을 두었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에 대한 평가: 시의 회화성이라는 새로운 방법의 자각을 보였던 것은 평가할 만하나, 인생관과 세계관의 인식의 결여, 문명의 근본적 속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는 점은 비판하여야 할 것. 또한 시의 회화성에 치중한 나머지 시가 언어 예술이라는 점을 간과하여 시가 지녀야 할 음악성에 대해서는 부족했음.
- 소설: 일제강점기 순수문학단체 구인회의 활동
*구인회는 1933년 8월, 당시 문단의 중견작가라 할 수 있는 사람 아홉명이 모여서 만들어진 문학 친목단체. 창립멤버로는 김기림·이효석·이종명·김유영·유치진·조용만·이태준·정지용·이무영이 있었으며 이후 이종명·김유영·이효석이 탈퇴하고 대신 박태원·이상·박팔양이 새로 들어왔으며, 그 뒤 유치진·조용만 대신에 김유정·김환태로 바뀌었음. 문학 친목단체를 내세우면서 활동하고 있었으나 1930년대 초반, 경향문학(카프)에 대한 일제의 탄압을 목도하고 민족주의 문학의 퇴조를 지켜보던 과정에서 문학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요구하던 것이 구인회 전체의 목적이 된 듯하다.
구인회의 멤버들은 그 방향성을 모더니즘에서 찾은 듯하며 이는 당시 시대의 흐름상 근대 문명의 유입을 직접 목도하고 이를 영위할 수 있었던 때문. 1920년대 서양이 모더니즘 운동은 근대적 감수성을 추구하면서도 자본주의를 비판하였다면 1930년대의 식민지 조선의 모더니즘 운동은 근대화에 대한 환상, 지향이 주로 드러났으며 서양의 모더니즘과 유사한 활동이 일어난 것은 후기 모더니즘, 즉 1950년대 후반이었다.
2) 1950년대 후반
- 1950년대의 모더니즘 문학은 청록파의 전통적 세계를 부정하고 도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문명을 비판하고 전위적 기법을 도입하였다. 전후시에서 모더니즘 또는 주지적 경향을 드러낸 경우는 세 갈래로 나누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