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

 1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
 2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2
 3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3
 4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4
 5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5
 6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6
 7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7
 8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8
 9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9
 10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0
 11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1
 12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2
 13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3
 14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4
 15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5
 16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6
 17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7
 18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8
 19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19
 20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매체] 신드롬과 소비 - 이효리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신드롬의 개념
2. 신드롬의 사회적인 형성 배경
3. 대중매체와 신드롬
(1) 대중매체의 신드롬 형성
(2) 수용자 상품론
(3) 문화산업론
① 허위의식으로서의 신드롬
② 사고를 차단하는 신드롬
③ 한 바구니 안에 담아내는 신드롬
4. 신드롬과 소비
(1) 신드롬에 의한 소비 창출의 예
① 책 신드롬- MBC ‘느낌표’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② 이효리 신드롬- 효리 패션
③ 누드 신드롬
④ 블랙 푸드 신드롬- ‘검은콩 우유’
(2) 신드롬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의 이유
① 미디어․광고 효과의 법칙
② 동일시 [ 同一視 , identification ]
③ 타인과의 동질화 추구
5. 사례분석 -이효리 신드롬
(1) 이효리 신드롬
(2) 이효리 신드롬의 탄생 과정
(3) 이효리 신드롬 형성의 배경
(4) 대중매체의 이효리 신드롬의 형성과 소비 조장
(5) 이효리 신드롬에 대한 비판

Ⅲ 결 론


*한글2002파일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 론

현대의 대중매체는 그 산업적 구조상 상업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대중매체는 수용자로 하여금 소비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다. 말할 것도 없이 광고가 그 대표적인 경우다. 프로그램의 앞뒤에 붙는 광고 이외에도 수용자는 알게 모르게 매체로부터 많은 광고를 수용하고 있다. TV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연예인의 패션을 따라할 수도 있고, 책 프로그램이나 신문에서 소개하는 책을 구매할 수도 있다. 혹은 당장은 아니더라도 드라마속의 주인공이 좋아하는 상품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되어 나중에 상품을 구매할 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처럼 대중매체는 수용자의 소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수용자들은 결코 직접적으로 광고의 메시지를 수용하지는 않는다. 무차별적인 수많은 광고 속에서 수용자들은 더 이상 직접적인 광고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눈에 광고임을 알 수 있는, 그것이 이미지의 허상들로 가득 채워진 광고라 하더라도 이제는 식상한 광고로 수용자의 외면의 대상이 되기 쉽다. 광고주들은 점점 더 독특하고 수용자의 허를 찌르는 은밀한 광고를 만들기에 온갖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은밀한 광고의 시점에서 우리는 현재 거세게 일고 있는 이효리 신드롬을 중심으로 소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드롬’에 주목하였다. 이효리 신드롬을 비롯해 어느 방송사의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책을 읽자는 신드롬이나 건강과 관련된 블랙푸드 신드롬 등등이 많은 신드롬들이 현대사회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신드롬은 일종의 사회현상이지만 그 가운데서 몇몇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1. 현대사회학, 기든스,앤터니 저, 김미숙 역, 을유문화사 , 2002
2. 사회심리학 개론, 고영복 저, 사회문화연구소, 1997
3. 커뮤니케이션 : 경제학의 맹점, 달라스 W. 스마이드, 강준만, 박주하, 한은경 편역, (닥나무, 1993)
4. 대중문화의 신화 읽기, 스윙우드 알란, 김영수 역, 현암사, 1984
5.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J. Story 박모 역, 현실문화연구, 1995
6. 한국형 마케팅 불변의 법칙, 여준상, 더난 출판사, 2003
7.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Denis McQuail, 오진환 역, 서울:나남, 1990
8. 대중 매체 이론과 사상, 강준만, 2001.개마고원
9. 비판 이론으로써의 문화연구, 벤에이거, 김해식 역, 옥토, 1996
10. 문화유물론, 마빈해리스, 대우학술 총서, 1996, pp. 228-299
11. 문화연구이론, 정재철, 한나래, 1998, p.32-38
12.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존 스토리, 현실문화연구,1995
13. 인터넷 교보문고(www.kyobobook.co.kr)
14. 주간 조선
15. 일간 스포츠
16. 굿데이
17. 한국 경제사회과학, 엔사이버 백과사전, 두산, 2000
18.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