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

 1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
 2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2
 3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3
 4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4
 5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5
 6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6
 7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7
 8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8
 9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9
 10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0
 11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1
 12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2
 13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3
 14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4
 15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5
 16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6
 17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7
 18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8
 19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사] 제주도와 4.3사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제제기.
1.2 연구 대상의 범위.
1.3 연구 방법 소개.
1.4 연구 의의.
1.5 4.3 사건 개요.

2. 수정주의로 본 4.3 항쟁
2.1 제주도를 조선의 축도로 볼 수 있는 이유
2.2 한반도의 축도인 제주도의 인민위원회 성격과 사회주의와의 관계
2.3 민중과 남로당과의 관계

3. 4.3 사건 전후의 제주도 민중의 계급의식
3.1 해방 이후의 제주도의 사회 상황
3.2 1947년 3.1운동 사건의 성격
3.3 제주도 사회단체들의 성격 변화 - 사회주의적 성향에서 민족주의적 성향으로

4. 제주도의 배타성
4.1 제주도의 배타성
4.2 제주도 관공 요직에서 제주도민 배제
4.3 일부 경찰과 공무원의 부정 행위
4.4 혈연관계에 따른 복수전

5. 밀수입과 부패
5.1 밀수의 천국-제주
5.2 복시환 사건-경찰의 개입
5.3 민중과 관경의 괴리감 증대

6. 소수 경찰의 폭력 남용
6.1 사살한 집단의 범위
6.2 경관 파업 참가

7.결론


*한글2002파일입니다.
본문내용
1. 서론
1.1 문제제기.

4.3 사건은 해방 직후와 한국전쟁 사이에 일어났던 정치적 사건으로서 이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한국 해방 직후의 사회는 물론 이후의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데 있어 그 위치가 매우 핵심적이다.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낳았던 이 사건은 여순 반란 사건 등과 함께 연결되어 당시에는 북한 공산당의 사주를 받은 제주도민들의 공산주의화 시도로서 평가되었었다. 그러나 최근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4.3 진상 규명 위원회의 활동을 통해 그 명칭부터 4.3 항쟁으로 정정되며 재조명되고 있다.
제주도가 한반도를 대표하는 지역이다, 혹은 한반도와는 상황이 다른 특수한 경우이다라는 것은 이전 논의의 전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명제이다. 본고에서 주된 이전 논의로 다룰 수정주의적 관점에서는 제주도는 한반도의 축소판으로서 이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제기되고 있는 통계상의 자료에서는 오히려 반대로 제주도의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실제로 제주도와 한반도의 상황은 어떠하였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가장 이슈화되고 있는 민중 이데올로기적 부분에 있어 접근하기로 하였다. 실제로 4.3 사건을 주도, 지휘했던 세력은 제주 남로당이었다. 분명 당의 성격에 비추어본다면 좌경화되어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민중들 역시 좌익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판단내릴 수 없다. 본고에서는 제주 민중들이 강제적으로 참여하였는가, 혹은 자발적이었는가라는 문제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이들이 어떠한 의식을 가지고 4.3 사건에 참여하였는가에 대한 문제까지 다룰 것이다.
참고문헌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제주4·3사건자료집1 [신문편]』, 서울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1.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제주4·3사건자료집2 [신문편]』, 서울 :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1.
조남현, 제주 4.3 항쟁의 쟁점과 진실
브루스 커밍스, 『한국전쟁의 기원』(김자동 역), 서울: 일월서각, 1986.
브루스 커밍스,『한국현대사』(김동노 외 역), 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1.
강정구, 「미국의 한반도 전략과 조선의 분단 : 4.3 항쟁을 중심으로」, 1998.
정해구, 「제주 4.3항쟁과 미군정정책」,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