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

 1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1
 2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2
 3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3
 4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4
 5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5
 6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6
 7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7
 8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8
 9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9
 10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10
 11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일관계사] 일본군 위안부와 이를 통해 본 한국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일본군 위안부
1. 위안부가 만들어지게 된 배경
2. 위안부 동원 방법
3. 위안부 규모와 동원지역
Ⅱ. 한국사회의 또 다른 위안부
1. 산업위안부
2. 한국전쟁 당시의 위안부
3. 기지촌 여성
맺음말


본문내용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 혹은 ‘위안부(慰安婦)’란 일제 식민지시기에 일본군 ‘위안소(慰安所)’로 연행되어, 일제에 의해 조직적으로 강제로, 반복적으로 성폭행 당한 여성들을 일컫는다. 이러한 ‘종군위안부’ 혹은 ‘위안부’라는 용어는 패전 전의 일본 군부에서 이름 지어 부른 것으로 어디까지나 ‘위안부’들을 통해서 성적 ‘위안’을 받은 일본 군인을 주체로 하여 붙인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위안부’ 여성들에게 강제된 것은 ‘위안’이라는 단어에 함의된 ‘사랑’, ‘동정’, ‘따뜻함’, ‘불쌍히 여김’과는 완전히 동떨어진 것이었으며, 또 ‘종군’이라는 단어에는 원래 ‘자발적’ 이라는 의미는 없으나, '종군기자'와 같이 ‘스스로의 의사로 또는 일의 내용을 납득해서 참가한다.’ 라는 뉘앙스가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실상 이것은 적합한 용어라고 할 수 없다. 그밖에도 당시 ‘위안부’ 여성들은 ‘매춘부’, ‘작부(酌婦)’, ‘여급’, ‘예창기(藝娼妓)’, ‘추업부’ 등으로 불렸는데, 이러한 용어 또한 일본 군인을 주체로 하여 붙여졌기 때문에 본질적인 면을 드러내기 보다는 그 실태를 은폐하는 측면이 있으므로 명칭으로서 적합하지 못하다.
한편,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이들을 ‘정신대(挺身隊)라고 불러왔다. 1990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일본군 ‘종군위안부’문제를 학문적으로 연구할 목적으로 조직된 연구단체가 그 이름을 ‘한국정신대연구소’라 한 것과 같은 해에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성립된 협의회도 그 이름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라고 한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위안부 관련 이해를 위한 기초 입문』, 여성부, 2002
한국정신대연구소, 『할머니 군 위안부가 뭐예요?』, 한겨레신문사, 2002
알레인 김․최정무, 『위험한 여성』,삼인, 2001
한국여성연구소 ․ 여성사연구실,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99
요시미 요시야키, 『일본군 군대위안부』, 소화, 1998
요시미 요시야키, 『종군위안부』, 서문당, 1993

시민모임, 「한국군도 위안부 운용했다」, 오마이뉴스, 2002
강만길, 「일본군 위안부의 개념과 호칭문제」, 역사비평사, 2000
한정희, 「일제하 조선인 “산업위안부”의 실상」, 월간 사회평론 길 98권 8호, 1998
신영숙․조혜란, 「일제시기 조선인 군위안부의 실태 및 특성에 관한 연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