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

 1  [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1
 2  [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2
 3  [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3
 4  [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이인직의 ‘혈의 누’와 신소설

목 차

◇‘혈의 누’를 통해 본 신소설의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

△ 신소설의 주제와 시대 의식 및 ‘혈의 누’

△ 신소설의 특징

△‘혈의 누’를 통해 본 신소설의 한계.


◇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와 전근대문학적 구투

△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

△ 전근대문학적 구투
본문내용
'신소설'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출현한 일련의 소설 작품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용어는 원래 일본에서 쓰이던 것인데, 1906년 '대한 매일 신보'의 광고에서 처음 보였고, 이듬해 '혈의 누'가 단행본으로 간행되면서 '新小說 血의 淚'라고 밝힘으로써 이후 일반적인 명칭이 되었다. 이인직을 비롯한 개화파 지식인들이 이전의 고전 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소설 형식을 창출하였는데, 신소설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말한다. 이인직의 '혈의 누', 이해조의 '자유종', 최찬식의 '추월색' 등이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신소설은 확대된 장면 묘사, 작품 서두의 참신성, 근대적인 사상과 신문물의 도입, 풍속의 개량 등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고전 소설과는 다른 새로운 면모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후기로 갈수록 부녀자들을 상대로 한 대중적 독서물로 변질되어 고전 소설의 상투적 수법인 우연을 통한 사건 전개, 선악의 평면적 대립, 흥미 위주의 사건 설정 등이 남발되면서 초기의 참신성이나 문제 의식이 점점 희석되고 오락성이 강화되어 갔다.

3.‘혈의 누’를 통해 보는 신소설의 한계.

'혈의 누'는 청일 전쟁 당시 평양을 배경으로, 옥련 일가의 이산과 7세에서 17세에 이르기까지의 옥련의 기구한 운명을 다루고 있다. 또, 일상적 대화 중심의 평이한 문장과 사실적인 묘사로 인해 최초의 신소설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 작품은 개화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덕목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 민족의 자주 독립 의식과 반봉건 사상이 주를 이룬다. 신소설에 나타난 새로운 내용으로는 우선 개화사상의 반영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등장 인물들의 대화를 통하여 신교육의 도입, 남녀평등 사상, 자유 결혼의 주장, 계급 간의 갈등과 평등 의식의 대두 등을 보여 주고 있는데, 그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이었다.
그러나 작품의 내용은 새로운 것이었지만 형식은 고전 소설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우선 소설의 전체적인 구조가 고전 소설의 영웅 설화 형식을 취하고 있고, 우연에 의한 사건 전개, 서술자가 자주 작품의 전면에 나와서 설명과 해설을 하고 있는 점들이 그러하다. 이로 보아, 신소설은 내용면에서는 당대의 새로운 시대사상을 담고 있으나, 형식적 측면에서는 아직 고전 소설의 틀과 특성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시대적 영향으로 말미암아 문학의 예술적 기능에 대한 명백한 자각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사회적인 계몽과 같은 소설의 효용성에 치우쳐 있다는 것도 큰 특징이다.
하고 싶은 말
열심히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