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

 1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
 2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2
 3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3
 4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4
 5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5
 6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6
 7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7
 8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8
 9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9
 10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0
 11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1
 12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2
 13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3
 14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4
 15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5
 16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6
 17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7
 18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8
 19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학] 신소설과 장한몽(신소설 시대의 대중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신소설
신소설의 정의와 그 정당성

신소설의 발생배경

신소설의 특징

신소설의 통시적 흐름

신소설의 대중문학사적 의의

2. 대중과 대중문학


1. 대중
2-1
2-2

1) 귀족주의자 (Ortega y Gasset(오르테가 이 가세트))

2) 문화주의자 (버밍엄 대학 현대문화연구소 Raymond Williams)

3) 이정우

2. 대중문학

1-1. 대중문학의 개념과 범주

3. 대중소설

3-1. 대중소설의 개념

3-2. 1910년대의 대중소설

3-3. 1920년대의 대중소설

3-4. 1930년대의 대중소설

4. 대중과 대중문학

5. 대중문학의 전개

*참고문헌*

3. 추월색과 대중성

1. 들어가며

2. 본론

1) 통속적인 플롯
(1) 감상성-연인들의 이별과 해후, 가족상봉

(2)선정성-색주가 서방의 핍박, 강한영의 폭행


(3)관능성-강한영의 성추행

(4)해학성-강한영의 처벌

2) 추월색의 문학적 가치
(1) 조선의 사회상을 반영한 리얼리티

①문화적 배경

②정치적 배경

③사상적 배경
(2) 추월색의 독창성
(2)-1 위기의 연속인 서사


(2)-2 역순행적 구조

(3)추월색의 문제제기와 주제

3) 추월색의 한계
(1)고전소설의 요소

①개연성의 약화

②작가적인 개입

③ 인물의 정형성

참고 문헌

4. 장한몽에서 볼 수 있는 ‘대중문학’의 가치


1. 서론
2. 본론
3. 결론

그 외 참고 자료

본문내용

3-2. 1910년대의 대중소설
조선시대에는 대중소설 대신 통속소설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유교 경전이나 철학, 역사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우리말로 된 이야기를 지칭하는 용어였다. 하지만 흥미에서 오는 대중소설의 감동적 효과를 인식하고 있어 근대 대중소설과도 일정부분 상통함을 알 수 있다. (대중소설의 감동적 가치는 개화기에 이르러 신소설이라는 새로운 명칭 속에 접맥됨)
1910년대 말경에 이르러서야 대중소설로서의 통속소설이라는 용어가 소설전체를 나타내지 않고 소설의 한 하위양식개념으로 사용됨으로써 대중소설이 개념의 보편성을 획득하기 시작하였다. ex. "참 문학적 소설" ↔ "현금 유행하는 비저한 통속소설" (김동인,1918)

3-3. 1920년대의 대중소설
소설이 신문을 통해 발표되면서 1920년대 말경에는 신문소설은 통속소설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염상섭: 1928년 소설과 민중에서 신문소설=통속소설=대중문예로 정의하였고, 독자층은 중학교 2년생의 지적수준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구분하였다.
김기진: 이전의 통속소설이 가진 인도주의적, 영웅주의적 감정과 사상을 빼고 그 대신 마르크스주의적 사상과 프롤레타리아 의식을 넣은 '새로운 통속소설'을 주장하였다. 1929년 대중소설론을 발표하여 '새로운 통속소설'을 '대중소설'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기서 대중소설의 독자는 노동자와 농민으로 한정된다.

3-4. 1930년대의 대중소설
대중소설에 대한 비평적 관심이 활성화 되었다.
윤백남: 대중소설과 순 문예소설은 독자, 관점 등에 있어 서로 다르지만, 완성된 작품의 가치에는 우열이 없다.
김남천: 30년대 후기 장편소설이 통속소설, 순수예술소설로 구분되는 것은 사회적 토대에
참고문헌

그 외 참고 자료
-권순긍, 「근대의 충격과 고소설의 대응 :개·신작 고소설에 투영된 '남녀관계'의 소설사적 고찰」, 한국고소설학회, 2004
-정종현, 「사랑의 삼각형'과 계몽 서사의 결합 :『金色夜叉』와 식민지 조선의 근대 소설의 관련 양상 연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김경연, 「『장한몽(長恨夢)』의 대중성 고찰」, 문창어문학회, 2003
-조중환 저, 박진영 역 , 『장한몽』 , 현실문화연구 , 2007
- 이언 와트 ,『소설의 발생』, 강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