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

 1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
 2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2
 3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3
 4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4
 5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5
 6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6
 7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7
 8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8
 9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9
 10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0
 11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1
 12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2
 13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3
 14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4
 15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5
 16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문학] 문학권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나 아렌트, 사르트르 그리고 문학권력

2. 문학권력 비판론자들의 견해
2.1 문학권력 논쟁
2.1.1 이명원의 창작과 비평 비판론
2.1.2 이명원의 문학동네, 조선일보 비판론
2.2 등단제도와 문학상 비판론
2.3 주례사 비평 비판론
3. 문학권력 비판론
- 강준만, 권성우, 이명원, 김명인, 김정란 등에
대한 반박
3.1 문학권력 비판론에 대한 반박의 등장
3.2 문학권력 비판론이 초래한 문제
3.3 문학권력 비판론의 새로운 지평

4. 문학권력, 발전적 논의로의 승화를 기대하며
본문내용
한나 아렌트는 그녀의 저서 ‘인간의 조건'에서 정치란 복수성에 기반한 개인들의 의사교환 행위라고 정의하고 있다. 아렌트의 이러한 생각은 독일계 유태인으로서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나치의 광풍에 쫓겨 미국으로 건너왔으며, 전후에는 미, 소간의 이데올로기 대립이라는 문제를 지켜보면서 든 생각의 묶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아마도 그녀는 정치라는 것의 본질이 칼 슈미트적으로 좌, 우 혹은 권위주의. 민주주의라는 이분법적 도식에 의해 난도질당하는 상황에 동의할 수 없었을 것이다.
최근, 2000년을 전후로 한국의 문단에서는 문학권력 논쟁이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문학권력 비판론자들은 계간지 혹은 대중서를 통하여 문연, 지연, 학연으로 점철된 한국 문단의 작태를 고발하였고, 이에 반비판론자들이 반발하면서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논쟁은 수년간의 지난한 과정을 거쳐 최근에 이르기까지 타협점을 찾지 못하였고, 여전히 불씨가 온전한 상태이다. 우리는 이러한 현상을 지켜보면서 한나 아렌트를 생각해 보았다. 왜냐하면, 문학권력 논쟁은 ‘문학’에 관련한 말의 오고감이니, 아렌트가 정치의 본질을 개념화 했던 것처럼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서 문학의 본질을 정의해 본다면 문제의 해결이 용이해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강준만, ‘문학권력’, 개마고원 2001

고명철 外, ‘주례사 비평을 넘어서’,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2

방민호, ‘문명의 감각’, 향연, 2003

이명원, ‘파문’, 새움, 2003

당대비평 1997년 겨울호

문예중앙 1999년 여름호

문학동네 2001년 겨울호

창작과 비평사 2003년 가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