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

 1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1
 2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2
 3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3
 4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4
 5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5
 6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6
 7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7
 8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8
 9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9
 10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10
 11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11
 12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족문화] 중국과 한국의 혼인문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상고시대의 혼인
중국의 경우

3. 주대와 진한시기
삼국시대의 혼인
1)혼인 의식
위진남북조와 수.당시기

4. 고려시대의 혼인 풍속과 의례
1)근친혼과 중혼. 재혼
2)혼인의 절차와 혼수품
송.원.명.청시기

5. 조선의 혼인
1)『주자가례』와 전통의 충돌

6. 신식 결혼식의 시작
1)자유연애론
개인의 의사가 중시되는 중국의 현대혼
본문내용
1. 들어가며

혼인이란 사회적으로 승인된 경제적, 성적 결합이라 일반적으로 정의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옛날부터 혼인이란 용어를 사용하였고, 의식절차에 국한하여 혼례라는 표현을 썼다. 지금 흔히 쓰고 있는 결혼이라는 단어는 일본식 표기라고 한다. 성에 대한 발표가 앞서 있었음으로 본 발표는 혼인과 혼례에 대해 시대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고자료에만 충실하였다.

2. 상고시대의 혼인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 신화에 의하면 단군왕검은 원래 곰이었다가 인간이 된 웅녀와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웅녀는 신단수 아래에서 임신 할 수 있기를 기도했고, 이에 환웅이 잠시 형체를 바꾸어 웅녀와 혼인하였다고 한다.
고구려의 주몽설화에서도 하백의 딸 유화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와 사통을 하였으며, 햇빛에 감응되어 주몽을 낳았다고 전한다. 또 가야에서도 가야산신 정견모주가 천신 이비가지에 감응되어 대가야 왕 뇌질주일과 금관국 왕 뇌질청예 두 사람을 낳았다고 하는 건국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들 건국 설화에는 정상적인 부부 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잠시 형체를 바꾸었다거나, 사통. 감응 등으로 표현되는 일시적인 관계만 보인다. 아버지는 임신시키는 데만 의미가 있는 존재일 뿐이었고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일은 어머니만의 몫이었던 것 같다.

중국의 경우

복희는 무지개가 신모를 둘러 태어났다고 하였으며, 설은 간적이 알을 삼킨 결과 태어났으며, 기는 강원이 거인의 발자취를 밟은 결과 태어났다고 하여 남녀 관계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중국의 신화는 ‘어머니만 알고 아버지는 모르는 사회’의 반영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에 반해 우리의 건국 설화에는 대부분 남녀 관계가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건국 설화에서도 일시적인 관계만 있고 임신 후 아버지의 존재는 나타나지 않는다.
참고문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세계의 혼인문화』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200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문화사.1,『혼인과 연애의 풍속도』,두산동아,2005
잭 구디, 연국희.박정혜 옮김『중국과 인도의 결혼풍습 엿보기』중앙M&B,1997
김수봉 . 김창남 공저, 『중국 종족들의 혼속』경인문화사, 199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한길사,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