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

 1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
 2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2
 3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3
 4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4
 5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5
 6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6
 7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7
 8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8
 9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9
 10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0
 11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1
 12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2
 13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3
 14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4
 15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육사] [교육학]고려시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사와 무사
1. 몽고침략전 무신집권기
2. 고려 항몽기
3. 몽고 간섭기

Ⅲ. 고려 후기 학교 제도의 변천
1. 사학 12도의 변화
2. 고려 후기의 향교

Ⅳ. 고려 후기의 교육이론
1. 김부식 과 일연
2. 지눌 (1158-1210)

Ⅴ. 결론
본문내용
1. 몽고침략전 무신집권기
무신집권기 시대에 문사들의 과거 응시자 수는 줄었지만 급제자의 수는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첫쨰, 문신의 협조 없이는 국가운용과 정권유지가 어려웠다는 점과 둘째, 무신집권자들은 급제자를 늘리고 마음에 맞는 사람을 등용하면서 그 불만을 없애려 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무신들의 지위가 올라간 시기였지만, 문신들이 그 세력에 죽어 자신들을 뜻을 무조건 굽히지만은 않았다. 이규보가 조태위에게 올린 편지를 살펴보면 무신집권 하에서의 문신들의 당당함을 엿볼 수 있다.
또 무신집권기에도 국자감, 12도, 향교 등과 같은 교육기관은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과거응시자가 줄고 급제 후에도 진로가 불확실하여 교육은 사교육 중심으로 나름의 발전을 도모하여야 했다.

2. 고려 항몽기
고종대는 고려건국 후 최대의 시련기였다. 거란의 침공과 몽고침략으로 인해 수도를 강화로 옮기게 되고, 시대는 무척 어지러웠다. 이 시기에는 정부의 통치기능은 물론, 백성들의 정상적인 생활도 어려웠으며, 교육도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로 국학교육이 침체되고 승보시가 일시 중단되는 사태도 일어났다.
하지만 그런 피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국학의 명맥은 유지되었는데 천도직후는 강화향교를 국자감으로 삼았고, 이후에는 새 국자감을 건설하여 그 명맥을 이어갔다. 혼란스런 시대상황 속에서도 국학의 명맥은 유지된 까닭은 국가직면 문제의 해결은 국자감과 같은 교육기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3. 몽고 간섭기
몽고 간섭기에 충렬왕은 너무 학문의 문야가 치중되었다는 생각에 국자감 관직체계와 별도로 전공별 교수제를 채택하고, 경사교수도감을 설치하였다.
또 이시기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안향을 들 수 있는데 최초로 주자학을 전래하였으며, 문교진흥에 가장 현저한 공헌을 한 인물이다. 불교국가였던 고려사회에 유교를 사회의 중추적 이데올로기로 내세웠는데 이는 개인주의적 신비주의나 비현실적 개혁사상은 합리적, 체계적인 사회통치 이념으로 계발되기 어렵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훈고학적 학풍이 사변적, 심성학적, 철학적으로 바뀌어 간다는 신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