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

 1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
 2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2
 3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3
 4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4
 5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5
 6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6
 7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7
 8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8
 9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9
 10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0
 11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1
 12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2
 13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3
 14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4
 15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5
 16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6
 17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과 사회] 문학작품(눈이야기) 사회학적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바따이유(G. Bataille)와 《눈이야기》
1. 바따이유에 관하여
2.《눈이야기》의 줄거리
3.《눈이야기》의 문제적 장면

Ⅲ. 모더니즘과 에로티즘
1. 문학과 사회의 관계
2. 미적 근대성의 형성-미적 자율성
3. 모더니즘과 에로티즘

Ⅳ. 바따이유의 에로티즘
1. 금기와 위반
2. 바따이유의 문제 의식-인간
3. 바따이유의 문제 의식-사회적 측면
4.《눈이야기》의 ‘눈’이 갖는 의미

Ⅴ. 법과 문학
1. 문학-현실의 부정적 드러냄
2. 법-문학의 자율성은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할 것인가

Ⅵ. 나오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눈이야기》는 G. Bataille(이하 바따이유)가 ‘로르 오크’라는 가명으로 1928년 출판한 소설이다. 바따이유는 그 외에도 수편의 소설을 썼고, 《에로티즘》과 같은 유명한 인류학 저서도 남겼다. 또한 경제학 등 다방면의 학문에 관심을 기울여 그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과
에세이를 썼다. 그러나 바따이유는 당대의 주류 지식인들로부터 주목받지 못했으며 심지어 혹독한 비난까지 받던 아웃사이더였다. 초현실주의의 수장으로 꼽히던 사상가 브르똥은「‘초현실주의 2차 선언」을 통해 바타이유를 ‘무조건적인 일반화성향을 가진 정신 미숙’이라는 병에 걸린 환자, ‘더럽고 제정신이 아니며 악취를 풍기는, 불결하고 타락한, 미치광이 같은’, ‘세계에 흥에 겨워 떠다니는 신경 쇠약 환자’ 라고 인신공격에 가까운 비난을 퍼부었다. André Breton. Manifeste du surréalism. Gallimard. 1985. pp132-136
당대 최고의 사상가로 평가받는 사르트르 역시 마찬가지여서 바따이유를 ‘미치광이’ 라고 조소하곤 했다.
그러나 수년이 지난 후 미셸 푸코는 바따이유를 일컬어 ‘당대의 가장 위대한 작가 중의 한 사람’ 이라고 평가하였으며 푸코 외에도 많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바따이유에 관한 논의는 유행이 되다시피 하고 있다고 한다. 유기환,《에로티즘의 기원과 역사》, 한국프랑스학논집 제 37 집(2002), p153
바따이유는 과연 어떤 점에서 몇십 년도 채 안 되는 시기에 이러한 양극의 비평을 받아야 했던 것일까? 그리고 20세기 이후 지식인들은 바따이유를 왜 최고 작가의 반열에 올렸던 것일까? 《눈이야기》는 바따이유의 첫 소설이고, 이후에 본격적으로 그의 사상이 발전해 나가기는 했지만 이 소설 안에는 그의 사상의 핵심이 되는 씨앗들이 들어있다. 그러므로 이어지는 글에서는 바따이유의 사상을 이 소설의 내용과 연관지어 살펴보고, 논란의 대상이 되는 점들을 짚어보기로 한다. 그리고 법과 문학의 관계
속에서 다시 한번 이 소설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Ⅱ. 바따이유(G. Bataille)와 《눈이야기》

1. 바따이유에 관하여

바따이유는 1897년 프랑스 비욤에서 출생하였다. 그의 가정환경은 여러 면에서 《눈이야기》의 모티프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아버지는 바따이유가 출생할 당시 심각한 수준의 매독을 앓는 환자였고 앞을 보지 못하였다. 그리고 얼마 후에는 다리마저 못쓰게 되었으며 정신병을 얻는다. 바따이유에게 각인된 아버지의 이미지는 《눈이야기》 곳곳에 응용되어 나타난다. 바따이유는 이 소설 마지막에 덧붙인 「일치들」이라는 장에서(이 소설은 픽션인 「제1장 이야기」과 바따이유가 실제로 겪었던 일들인「제2장 일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유년시절에 아버지가 내뱉았던 말(“의사양반, 당신 우리 마누라랑 붙어 먹을꺼야?”)이 무의식적으로 그의 내면에 각인되었고, 그것이 《눈이야기》의 대부분을 설명해준다고 한다
참고문헌
권이오,〈눈과 에로티즘〉,《프랑스어문교육》제15집,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5.
김민수,〈미적 근대성과 근대문학, 그리고 모더니즘〉《환멸의 세계, 매혹의 서사-한국 소설과 근대성》, 거름, 2002
김현, 한국사회과학연구소 편집, 〈문학과 사회〉, 《예술과 사회》, 민음사, 1979
박동찬, 〈위반의 신 에로스-사드와 바따이유를 중심으로〉,《성과 사회》, 나남출판, 1998
유기환, 〈에로티즘의 기원과 역사〉, 《한국프랑스학논집》제37집, 한국프랑스학회, 2002
임철규, 《눈의 역사 눈의 미학》, 한길사, 2004
위르겐 하버마스, 이진우 옮김,《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조한경․고광모, 〈바따이유와 에로티즘〉,《한국프랑스학논집》제20집,한국프랑스학회, 2000
G. Bataille, 이재형 옮김, 《눈이야기》, 푸른숲, 1999
__________, 조한경 옮김, 《에로티즘》, 민음사, 1994
__________, ______ 옮김, 《에로티즘의 역사》, 민음사,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