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종묘 레포트

 1  [역사] 종묘 레포트-1
 2  [역사] 종묘 레포트-2
 3  [역사] 종묘 레포트-3
 4  [역사] 종묘 레포트-4
 5  [역사] 종묘 레포트-5
 6  [역사] 종묘 레포트-6
 7  [역사] 종묘 레포트-7
 8  [역사] 종묘 레포트-8
 9  [역사] 종묘 레포트-9
 10  [역사] 종묘 레포트-10
 11  [역사] 종묘 레포트-11
 12  [역사] 종묘 레포트-12
 13  [역사] 종묘 레포트-13
 14  [역사] 종묘 레포트-14
 15  [역사] 종묘 레포트-15
 16  [역사] 종묘 레포트-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종묘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종묘란
2) 종묘의 의의
1. 역사적 의미
2. 상징적 의미

3) 종묘의 형성과정
4) 조선왕조 시절... 종묘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1. 종묘 제례
2. 종묘 제례의 절차
3. 종묘의 제례동선
4. 제례와 건축 공간

5) 건축물
1. 주요 건축물
2. 기타 건축물
3. 종묘의 신실
4. 종묘 VS 중국의 태묘

6) 종묘건축의 특성과 건축미
7) 결론

본문내용
예(禮)를 중시하는 유교를 통치기반으로 하여 건국한 조선왕조는 그것을 국가의 주도적인 이데올로기로 삼았다. 종묘가 들어설 땅은 유교 경전(經典)에 도성(都城)기반시설 배치원칙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주례(周禮)』[춘관(春官) 종백(宗伯)]에는 임금이 궁궐을 중심으로 해서 남쪽을 향하였을 때 “오른쪽에 사직, 왼쪽에 종묘(右社稷 左宗廟)”를 둔다 하였고, [동관(冬官) 고공기(考工記)]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예로부터 임금이 남쪽을 향해 앉아서 정치하는 것은 모두 정(正)을 근본으로 한 것이다. 사직은 농업을 근간으로 하는 농경사회에서 중시한 토지의 신(神) ‘국사(國社)’와 곡식의 신 ‘국직(國稷)’에게 국태민안(國泰民安)과 풍년을 빌며 제사하는 장소다. 유교사회에서 종묘와 사직, 즉 종사(宗社)는 곧 국가의 기틀을 지칭하였으며, 국가의 흥망(興亡)은 곧 종묘․사직의 존망(存亡)이란 말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종묘와 사직의 존재는 정치이념상 국가 기틀의 완성과 왕조의 뿌리를 상징한다.
종묘건설은 궁궐 및 성곽건설과 함께 조선왕조 건국 후 시행한 국가 차원의 첫 대역사(大役事)였다. 태조는 1394년 10월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하고 유교이념에 따라 궁궐인 경복궁을 중심으로 오른쪽인 동쪽에 종묘, 왼쪽인 서쪽에 사직을 그 다음해에 세웠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

1. 서적

김동욱, 「빛깔있는 책들 - 종묘와 사직」, 대원사, 1997.
김봉열, 「시대를 담는 그릇」, 이상건축, 1999.
김왕직, 「그림으로 보는 한국 건축용어」, 발언, 2000.
류경수, 「우리 옛 건축에 담긴 표정들」, 대원사, 1998.
윤홍록, 「종묘」, 문화재청, 2001.

2. 논문

진경성, ‘종묘의 제례동선에 따른 지각형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1999.
한지만, ‘사적 고찰을 통하여 본 종묘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1998.

【 참고사이트 】

문화재청-http://www.ocp.go.kr
두산세계대백과사전-http://encyb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