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

 1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
 2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2
 3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3
 4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4
 5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5
 6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6
 7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7
 8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8
 9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9
 10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0
 11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1
 12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2
 13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3
 14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예술론] 잭슨 폴락의 동양예술론 관점에서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1) 잭슨 폴락
(2) 오토마티즘
(3) 액션페인팅, 추상표현주의
(4) 드립핑

Ⅱ. 본론
1.유가
(1) 유어예
(2) 흥관군원
2.도가
(1) 물아일체
(2) 지인
(3) 이성적직관 = 척제현람
(4) 대교약졸
(5) 언의론
(6) 천연의 미
(7) 미와 추의 상대성
(8) 소외

Ⅲ. 마치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본 보고서의 취지는 잭슨 폴락의 영화를 보고 이것을 동양예술론(유가, 도가) 관점에서 그 의미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고등학교 미술 시간에 물감을 흩뿌리는 폴락의 작품을 누구나 한 번 씩은 본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 방식이 그렇듯 단순히 스쳐지나 가는 것과 다름없었습니다. 원래 서양 미술 쪽에 조금은 관심이 있어서 고대와 중세, 근대의 미술에 대해서는 조금 알고 있었는데, 이 영화를 통해 폴락은 물론 현대 미술에 대해서도 흥미가 생겼습니다. 상당히 괜찮은 영화였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추천해주고 싶은 맘이 들었습니다.
아뭏든 잭슨 폴락의 작품 세계를 그린 이 영화를 분석하기에 앞서, 잭슨 폴락과 그가 사용한 기법과 당시 화풍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물아일체(物我一體)
장자 학파는 미를 무위와 자연 속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자유 경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物)의 지배에서 벗어나 물과 인간이 하나가 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심미 경계에 도달한다는 것은 곧 만물과 하나가 된다(물화(物化))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영화 초반에 리 크래스너가 폴락이 그림을 그리는 것을 보며 큐비즘, 자유연상기법, 오토마티즘 등을 들먹이며 그의 그림을 분석하려고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때 폴락의 대답은 “그냥 그리는 거야(I'm just painting...)” 그리고 “내가 자연이야(I'm nature.)"였다. 사실 미술이나 음악의 장르라는 것은 비평가나 대중들이 이름붙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미술가나 작곡가는 단지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만들 뿐인데, 외부의 기준과 잣대에 지나치게 집착해서는 심미의 경지에 다다르지 못하는 것이다. 자연과 하나된 상태, 물아일체의 경지에서 최고의 예술이 탄생할 수 있다.


Ⅱ. 본 론
1. 유가 (공자)
성어악 유어예(成於樂 遊於藝) : 악(樂)에서 완성하고 예(藝)에서 노닌다.
물감을 마구 흩뿌린 그림. 그림을 그린 것인지, 물감으로 장난을 친 것인지 알 수 없는 그림. 아무렇게나 엉망진창 갈겨 놓은 그림이라 생각했지만 자세히 보았을 때 거기에서 완벽한 미적 균형을 발견하게 된다면, 우리는 스르륵 몸에 돋는 소름과 함께 그것을 고도의 복잡한 구조를 지닌 미학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미술의 큰 변화를 주도하였던 화가 폴락의 자유로운 그림은 예술에서 노니는 경지 그것이 아닐까.




2. 도가(노자와 장자)

무위이무불위(無爲以無不爲) : 무엇도 하지 않으면서
무엇 하나 하지 않는 것이 없다.
도가의 핵심사상을 나타내는 이 말은 본디 정치, 사회적 의미이지만, 이것을 예술론에 적용시켜 폴락의 그림을 묘사한다면 이렇게 표현될 것이다.
“무엇도 그리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그 무엇도 그리지 않은 것이 없는 듯하다.”

노장사상의 핵심사상은 역시 도(道)이다.
이 도는 만물의 근원이면서 무소부재한, 즉 존재하지 않는 곳이 없도록 모든 사물 가운데 체현되어 있다. 도의 운행과 발생은 완전히 무의식적, 무목적적인 것으로 저절로 이루어진 것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 도의 운행과 발생의 결과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바가 없다. 도가는 도의 이러한 무위자연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개체 생명이 어떻게 자유로운 발전을 구할 수 있는 가라는 관점에서 미와 예술의 문제를 고찰했다. 그리하여
참고문헌
- 논어, 맹자
- 도덕경, 장자
- 동양예술론 입문

하고 싶은 말
잭슨폴락 영화를 보고 동양예술론과 연관지어 쓴 감상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