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

 1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1
 2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2
 3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3
 4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4
 5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5
 6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6
 7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7
 8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8
 9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9
 10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10
 11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11
 12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12
 13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의 이론,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동양윤리사상의 이론
1. 사랑(인)
2. 조화(의)

Ⅱ. 동양윤리사상의 의의

Ⅲ. 동양윤리사상의 특징

Ⅳ. 동양윤리사상의 연원
1. 공자(孔子)의 윤리 사상 - 仁 ․ 禮
1) 인(仁)의 사상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2) 예(禮)의 사상 - 예의예절
3) 군자(君子)
4) 정명(正名) 사상과 정치 사상
2. 맹자(孟子)의 윤리 사상 - 仁 ․ 義
1) 성선설(性善說) 사상 :ꡒ인간 본성은 착하다.ꡓ
2) 사덕과 사단
3) 대장부(大丈夫)와 호연지기(浩然之氣)
3. 순자(筍子)의 윤리 사상 - 예(禮) 至上主義
4. 노자(老子)의 윤리 사상 - 무위 자연(無爲自然)
1) 도(道)와 무위 자연(無爲自然)
2) 윤리 사상 - 상선약수(上善若水)
5. 장자(莊子) - 제물론, 물아일체
1) 도(道) 사상
2) 「제물론」의 만물제동(萬物齊同) 사상
3) 좌망(坐忘)과 심재(心齋)
4)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6. 불교(佛敎)의 윤리 사상
1) 연기설(緣起說)과 慈悲
2) 사성제(四聖諦) -(네가지 진리), 불교 교리의 핵심
3) 삼법인설(三法印說)

Ⅴ. 동양윤리사상의 전개
1. 유교 윤리 사상의 전개
1) 한·당의 유학 사상
2) 송의 유학 사상
3) 양명학
4) 청대 고증학과 실학 사상
2. 도가, 도교 사상의 전개
1) 황로학파(黃老學派)
2) 오두미교(五斗米敎)
3) 위진 시대의 현학
3. 불교 사상의 전개
1) 소승 불교와 대승 불교
2) 대승 불교
3) 중국 불교의 전개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동양윤리사상의 이론
1. 사랑(인)
우주 안의 만물은 서로가 서로를 위해 태어났다. 나는 남을 위해 태어났고, 또 남은 나를 위해 태어났다. 즉 남을 사랑하는 것이 나의 임무이고, 나의 존재이유이다. 이는 시작도 끝도 없이 순환한다.
그렇다면 남을 돕는다는 것, 남을 사랑한다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로사광은 주역 의 “천지의 큰 덕은 생이다” 중의 ‘생’의 의미를 ‘육체보존’으로 해석하면서, 내가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타자(특히 동식물)를 희생시키는 약육강식의 법칙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이는 필연적으로 모순에 봉착한다고 한다. 그러나 ‘생’의 의미는 육체적인 ‘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가 자기의 임무를 다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가 산다는 것도 육체적인 삶이 아니라 나의 몸을 불살라 남을 사랑하고 돕는 것이다. 그것이 내가 살아가는 길이다. 나의 목숨유지는 최종적인 목적이 아니며, 나의 존재이유도 아니다. 나의 육체는 나의 임무를 수행하는 도구이다. 나의 몸을 희생하여 남을 도와 나의 임무를 다하는 것이 내가 ‘생’하는 것이다. 남도 또한 그렇게 한다. 이러한 순환과정을 계사전에서는 “생하고 생하는 것을 역이라 한다.”라고 한 것이다.
사람만이 아니라 우주 안의 모든 만물은 똑같이 타자를 사랑할 임무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물관계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인간사회 속의 대인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타자를 사랑할 임무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나의 존재이유로서 반드시 그런 것이고 그래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교빈·이헌구, 동양철학에세이, 동녘, 1993
ⅱ. 이용곤, 동양철학개설, 흥학문화사, 1990
ⅲ. 장승구 외,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6
ⅳ. 조현규, 동양윤리사상의 이해 , 새문사
ⅴ. 최극호, 동양윤리학사, 새문사, 1989
ⅵ. 홍정근, 도덕,윤리교육과 동양윤리 ; 중학교 도덕교육과 동양윤리, 동양철학연구 47권, 동양철학연구회,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