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

 1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
 2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2
 3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3
 4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4
 5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5
 6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6
 7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7
 8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8
 9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9
 10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0
 11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1
 12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2
 13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3
 14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4
 15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5
 16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6
 17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7
 18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8
 19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19
 20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경영학 조직구조론] 파워-통제(Power-control)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직구조의 결정 요인
1. 조직구조 결정에 대한 관점의 흐름
2. Contingency 관점
3. Contingency 관점 비판
4. Strategic Choice 관점
5. Strategic Choice 관점 비판

Ⅲ. 파워-통제 관점
1. 의사결정의 불명확성
2. 파워-통제 관점의 4가지 주요 가정
3. 연합(체)들간의 권력투쟁
4. 전략-선택 과 권력-통제
5. 권력 획득 방법
6. 권력-통제 와 조직구조

Ⅳ. 사례분석 - 북한 노동당
1. 사례선정 이유
2. 북한 노동당 조직 개편 내용
3. 북한 노동당 조직도
4. 파워-통제 관점 적용

Ⅴ. 사례분석 - 국민은행
1. 사례선정 이유
2. 국민은행 조직 개편
3. 국민은행 조직도
4. 파워 통제 관점 적용

Ⅵ. 결론
본문내용
권력을 얻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 같은 방법들 중의 대부분은 두 가지 범주 중의 어느 하나에 속한다. 그 두 가지 범주란 바로 ‘조직의 업적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의 통제’ 와 ‘불확실성의 감소’이다.
조직을 수평적으로 나누다 보면 자연히 필연적으로 특정 업무가 다른 업무보다 중요하게 된다. 이러한 중요한 업무를 맡는 사람이나 부서(혹은 조직 내에서 중요한 업무를 맡고 있다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도록 만드는 사람이나 부서)는 파워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 자원의 통제(attempts to control resources)

간단히 말하면,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을 가지고 있다면 그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자원의 통제만이 권력을 증진시킨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권력을 증대시키려면 그 자원이 희소하여야 하고, 결정적으로는 그것이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
먼저, 자원이 희소하지 않다면 그것은 권력의 원천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 휘발유가 풍부하였을 때는 이웃의 주유소 주인은 차주인인 당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력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1979년 여름 5불어치의 휘발유를 주유하기 위해 3시간 동안이나 줄을 지어 기다려야 했을 때는, 그 이웃의 주유소 주인의 영향력은 갑자기 증대된다. 심지어는 주인이 “뛰어” 하고 말하면 “얼마나 높이 뛸까요?” 하고 말할 정도였다. 이와 똑같은 개념이 조직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약 그 자원이 희소가치가 없다면 그 같은 자원의 소유만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자원의 희소가치를 따질 때에는 또한 그 자원과 대체될 수 있는, 즉 그 같은 자원과 비슷한 적절한 대체물이 없는가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가까운 대체물이 없는 자원은 대체가능성이 높은 자원보다 더 희소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가령 조직 내에서 아무도 소유하고 있지 않은 기술(조직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가진 사람은 수백 명의 종업원들에게 쉽게 가르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사람보다 분명히 더 영향력이 있게 된다. 1980년대 초 NBC社에 대한 Johnny Carson은 1981년도 새로운 재임용계약에서 말도 안 되는 계약조건을 성사시킨다. 특히 자신의 고용주인 NBC사장 Fred Silverman 에게 가시 돋친 공격을 가한 그였기에, 그 계약조건의 성사는 더욱 놀라웠는데, 이러한 것은 Carson만이 가지고 있는 시청률동원력, 즉 희소가치가 있고 결정적으로 중요한 자원으로서 높은 수입을 올리고 있었으며 그와 바꿀 수 없는 비슷한 대체물이 없다고 믿어졌기 때문이다.
희소성 말고도 자원이 그 소유자에게 영향력(권력)을 갖도록 하는 데에 갖춰져야 할 또 하나의 요건은 ‘중요성’이다. 그 자원이 조직에 대하여 갖는 절대적 필요성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자원의 소유자의 영향력은 그만큼 증대된다. 즉, 앞에서 예로 들었던 휘발유의 경우, 주유소 주인은 그 휘발유를 필요로 하는 정도까지만 영향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휘발유의 중요성, 희소성이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지만, 대중교통이 거의 없는 어느 미국 남부도시에 사는 판매사원에게는 주유소 주인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지게 된다.

정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내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어떤 정보를 알고 있다면, 나는 영향력(권력)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실제로 나의 권력은 그 같은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는 능력에 있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조직 내에서 왜 전문성이, 즉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이 권력(영향력)을 갖게 되는가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또 이 같은 사실은 종업원들이 극단적으로 자기들이 하는 일을 비밀의 장막 속에 감추려고 하는 이유도 잘 설명해준다.
즉, 전문성이나 정보를 권력의 도구(권력의 기반)로 사용하는 데 대한 논의는 가끔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종업원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준다. 조직의 정보소통을 저해시켜 비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행동들이, 도리어 그들 자신에게는 매우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박원우, 2004년, 조직구조혁신론 강의자료집
Robbins, S.P., 1990년, Organization Theory, Prentice Hall
Daft, R.L., 2001년, Organizational Theory and Design, South-Weste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