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

 1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
 2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2
 3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3
 4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4
 5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5
 6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6
 7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7
 8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8
 9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9
 10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0
 11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1
 12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2
 13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3
 14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4
 15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5
 16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6
 17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7
 18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8
 19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19
 20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문화 비판] 팬덤과 스타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팬덤에 대하여... P 3
2. 스타덤에 대하여... P 5
3. 우리나라에서 팬덤과 스타덤의 사례 조사... P10
우리나라의 팬덤 역사... P10
조용필 P11
서태지 P15
대형기획사로 개편되는 가요계 P19
4. 팬덤에 관하여 긍정적인 시선과 부정적인 시선... P22
5. 팬덤에 관한 문제의식...(생각해 볼 문제) P29
본문내용
이러한 팬덤의 저항성의 구체적인 방식으로 존 피스크는 팬덤의 참여성과 생산성에 대해 말한다. 특히 여기에서 말하는 생산이라는 개념은 공식문화와의 구별과 차이(구별짓기)를 강조하는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존 피스크는 그 생산을 세 영역으로 나누어 범주화하고 있는데(그 경계가 분명치는 않지만) 그 첫 번째는 기호학적 생산성이다. 이는 특정 팬들이 문화상품의 기호학적 자원들로부터 사회적 정체성과 사회적 체험의 의미를 생산해내는 것이다. 이는 지극히 내향적으로 개인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생산으로 개인의 문화적 결핍을 채우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 두 번째는 언술행위적 생산성이다. 이는 대화공동체에서 팬들이 하는 말을 통해 유행하거나 특정한 지식(기호학적 생산성으로 생겨난 많은 것들)을 공유하게 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집단이 생산되고 이들은 개인적인 문화취향을 넘어 팬클럽의 집단적 가치체계(다른 집단과 구별되는)를 갖게된다.(이 과정에서 공식문화와 마찬가지로 많은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중심적 위치에 서게 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텍스트적 생산성이다. 이는 공식문화에 의해 정당화되는 예술생산에 더 근접한 것으로 그것은 종종 높은 생산가치를 가진다.(팬들은 이러한 텍스트를 통해 아비투스를 재생산해내고 대중문화자본을 습득해 나간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