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

 1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1
 2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2
 3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3
 4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4
 5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5
 6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6
 7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7
 8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8
 9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9
 10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10
 11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11
 12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리측정] 외모 만족도 척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용도
2. 이론적 배경
3.검사대상
4. 문항구성
5. 문항분석
6.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
본문내용
1. 연구의 목적 및 용도

지난 14일 브라질 모델 아나 카롤리나 레스톤 마칸(21)이 지나친 다이어트에 따른 거식증 증세로 사망했다. 이 소식은 큰 이슈로 떠올랐으며 우리 사회에 만연한 외모 중심적 사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 사회의 지나친 외모 중심적 사고와 사회적 압박이 결국 그녀를 죽음으로 내몰게 된 것이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회의 가치관은 오늘날을 일 만은 아니다. 아름다움이란 주관적인 가치관으로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 기준이 변화해왔다. 과거 600년의 서양문화를 살펴보면, 15세기에서 18세기까지는 비대한 체형이 물질적 풍요와 건강 및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생각되어 체중을 늘리려는 경향이 높았고, 이와 반대로 1930년대에는 마른체형이 건강과 높은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날씬한 것이 아름답고 좋은 것 이다‘라는 태도와 가치가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미에 대한 가치관은 계속적으로 변화해 왔는데 오늘날에는 마른 몸이 선호되면서, 자신의 건강마저 해치면서 마른체형을 만들려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고 그에 따른 섭식장애의 발병률 또한 높아지고 있다. 다이어트 실태를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응답자중 31.7%가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굶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대중매체와 친구들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이러한 시도를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른 신체형이 여성의 이상적인 신체로 강조되고, 이를 강요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여성은 이 기준에 부합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몸매 뿐 아니라 얼굴에서도 나타난다. “취업 성형”이란 면접 시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취업 전에 성형 수술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5%가 취업 성형을 할 의향이 있으며 취업성형에 대해 찬성했다고 대답하였다. 이는 여성이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 있어 외모가 얼마나 중시되는 가를 말해준다. 또한 외모중시현상은 중 고등학교 여학생들에게도 나타나는데 수능 시험 직후 성형외과의 고 3학생들로 성황을 이루는 성형외과는 이러한 현실을 말해주는 좋은 예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정주(2000).『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1999).『심리척도 핸드북I』. 학지사.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 편(2000).『심리척도 핸드북II』. 학지사.
김성곤(2000).『심리검사 이론과 실제』. 한국가이던스.
김성국(1999).『조직과 인간행동』.명경사.
노형진, 정한열 공저(2006). 『한글 SPSS : 기초에서 응용까지』.형설.
문정신(2002).『공적 자기의식 및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가치의 내재화와 신체상과의 관계』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윤지현(2004).『여자대학생의 신체불만족, 외모가치 내재화, 완벽주의의 관계』이화여자대학교.
이기성 , 한성실 , 정기문 공저(2006).『한글 SPSS 통계자료분석』.자유 아카데미.
이동원, 박옥희 공저(2000). 『사회심리학』. 학지사.
한국심리학회 편(1992). 『심리검사 제작의 이론과 실제』.한국심리학회.
Brockert, Siegfried(1997).『EQ 테스트북』 해냄출판사, 1997
John Rust, Susan Golombok (2005).『현대심리측정학』. 박학사.
Paul Chance(2004).『학습과 행동』.시그마프레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