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 부생육기

 1  [중국사] 부생육기-1
 2  [중국사] 부생육기-2
 3  [중국사] 부생육기-3
 4  [중국사] 부생육기-4
 5  [중국사] 부생육기-5
 6  [중국사] 부생육기-6
 7  [중국사] 부생육기-7
 8  [중국사] 부생육기-8
 9  [중국사] 부생육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사] 부생육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1. 심복(沈復)의 직업, 막우(幕友)를 통해 본
하급 지식인의 직업적 생활
2. 『부생육기(浮生六記)』에서 드러난 당대의 가족상
3. 심복(沈復)과 운(芸) 부부의 생활을 통해 본
하급 지식인의 우아한 일상
4. 『부생육기(浮生六記)』의 5,6장 위작(僞作) 논란(論難)에 대하여
본문내용
1. 심복(沈復)의 직업 막우(幕友)를 통해 본 하급 지식인의 직업적 생활

한 개인의 삶(생활)은 그의 직업을 통해서도 조명이 가능하다. 『부생육기(浮生六記)』의 지은이이자 주인공 심복(沈復)이 30여 년간 몸담았던 막우(幕友)라는 직업을 통해 󰡐심복(沈復)󰡑이라는 한 개인의 생활을, 더 나아가 당시 하급관리의 직업적 생활을 엿보고자 한다.

『부생육기』 곳곳에서 우리는 막우에 관한 언급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심복이 어느 해, 어느 곳에서 막우 일에 종사를 했는지 알 수 있을 뿐, 심복의 행적을 통해서는 막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일에 종사를 하는 직업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우선, 막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막우라는 직업에 대해서는 한 마디로 정의내리기 힘들다. 또한 막우의 존재가 정확히 언제부터 지방행정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는가 역시 잘 알 수 없다. 다만, 청대(淸代)의 경우 총독(總督), 순무(巡撫)에서부터 지현(知縣)에 이르기까지 모두 막우를 두고 있어 서리(胥吏)와는 또 다른 위치에서 실무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여기서 막우는 실무처리와 관련되는 일에 종사하며 서리를 감독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막우의 존재 이유는 크게 실무의 담당과 서리 감찰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막우의 호칭에는 막빈(幕賓), 막객(幕客), 내막(內幕), 빈사(賓師) 등이 있는데 賓이나 師라는 호칭에서 알 수 있듯이 막우는 지방관이 연빙(延聘), 즉 초빙(招聘) 하는 것이다. 막우는 지방관에 예속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대등한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지방관과 私적으로 맺어지는 것이지 制度的으로 맺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 심복지음. 지영재 옮김.「 부생육기」을유 출판사. 2004.
- 수잔 나퀸 이블린 S./로스키 지음, 정철웅 욺김. 「18세기 중국사회」 신서원. 1998.
- 민두기. 「 淸代의 幕友에 대하여 - 특히 乾隆朝를 前後한」 《역사학보 VOL.17》
역사학회 1962.
- 张蕊青. 《浮生六记》后两记之真伪. 明清小说研究 , 1994, (04)
- 陳創,「足本《浮生六記》作僞眞相」, 書屋, 2005, (01)
- 顧關元,「《浮生六記》之迷」, 瞭望, 1995, (48)
- 김대영, 『浮生六記硏究』,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9
- 沈復, 『浮生六記 :うき世のさが』, 岩波書店, 193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