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

 1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
 2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2
 3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3
 4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4
 5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5
 6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6
 7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7
 8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8
 9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9
 10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0
 11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1
 12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2
 13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3
 14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4
 15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5
 16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6
 17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7
 18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8
 19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19
 20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 사회 방언으로서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통신언어의 의미와 기능

-2) 통신언어의 일반적인 특성
① 음운론적 특성
② 어휘론적 특성
③ 숫자, 기호언어
④ 외계어

-3)통신 언어의 긍정적․부정적인 영향

-4) 통신언어의 역기능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5) 통신언어가 갖는 새로운 의미- 사회 방언으로서의 위상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인터넷을 점령한 마구잡이 글은 너무 한글을 위협하고 있다. 이미 오래 전부터 인터넷 글들은 갈수록 암호화 되면서 한글 파괴가 심화되고 있다. ‘축하해요’를 줄여 ‘ㅊㅋ’ 로 표시하는 것처럼 줄여 쓰는 경우, ‘슬퍼’를 ‘슬포’로 자모음을 멋대로 바꾸는 경우, 한자나 외국어를 희화적으로 사용해 특수 문자로 쓰는 경우 등과 같이 통신상에서 젊은 네티즌이 아니면 이해할 수 없는 용어가 난무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 중 상당수가 일상 언어에서 심지어는 수업 중에 쓰는 말이나 글에서 조차 맞춤법에 맞지 않거나 표준어가 아닌 언어를 쓰면서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잘못 표기된 내용을 지적해 주어도 고치기는커녕 왜 어렵고 불편하게 하느냐는 반응이 대다수를 이룬다. 편하고 재미있으면 되지 머리 아프고 복잡한 것은 귀찮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어렸을 때부터 통신문화에 익숙해져 있었던 환경에 의한 것으로, 현재 통신언어와 일상 언어가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혼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신언어는 일상의 구어와 문어에 있어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세대간의 이해할 수 없는 말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고, 그 결과 서로가 상대방의 말과 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까지 하여 세대간의 언어를 서로 배우자는 프로그램까지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매우 모순 되게도 일상생활 전반에서 통신언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통신언어를 일상 언어에서 섞어 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으면 일상 언어에서는 구분해서 써야 한다고 말하는 학생이 많다. 실제로는 쓰고 있으면서 의식적으로는 구분해서 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왜 이렇게 생각하는 것일까? 또한 통신상에서 나타나는 통신언어들은 국어를 오염시키는 원천적인 주범이자 해악적인 존재일 뿐 사회적으로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없는 것일까?
우리는 이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하여 통신언어가 우리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다시 한번 고찰해 보기로 하고, 또한 통신언어와 일상 언어간의 혼용 실태를 통신언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음운론적, 어휘론적, 숫자 기호언어, 외계어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통신언어가 갖는 긍정적 부정적 측면의 영향과 해결방안을 토대로 하여 통신언어가 가질 수 있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통신언어가 갖는 위상은 어떠한지에 대해 재고하며 앞으로 통신언어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결론 내리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논문)

1. 변강섭, , 원광대 교육대학원, 2005

2. 이진기,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옥향, ,
건양대 교육대학원, 2004

4. 김민희, , 홍익대 교육대학원, 2003


(학회지)

1. 신희상, , 한국어의미학회, 2004

2. 신승용, , 한민족어문학회, 2005

3. 박동근, , 한말연구학회, 2003

4. 박동근 ,, 한말연구학회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