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사상] 한비자

 1  [중국인 사상] 한비자-1
 2  [중국인 사상] 한비자-2
 3  [중국인 사상] 한비자-3
 4  [중국인 사상] 한비자-4
 5  [중국인 사상] 한비자-5
 6  [중국인 사상] 한비자-6
 7  [중국인 사상] 한비자-7
 8  [중국인 사상] 한비자-8
 9  [중국인 사상] 한비자-9
 10  [중국인 사상] 한비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인 사상] 한비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대적 배경
1. 법가의 탄생
2. 사상적 배경
Ⅱ. 한비자의 생애와 《한비자》
Ⅲ. 법가의 집대성 - 法, 術, 勢
1. 法(법)
2. 術(술)
3. 勢(세)
4. 사상적 특징
Ⅳ. 한비자의 정치관
1. 올바른 군신관계의 정립
2. 이상적인 통치
Ⅴ. 유가와 법가의 비교
1. 역사관 - 복고적 역사관과 진보적 역사관
2. 정치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시대적 배경

1. 법가의 탄생
중국 고대의 정치제도인 분봉제도는 구조가 단순해서 ‘예’와 ‘형’의 두 규범만으로도 질서가 유지됐다. 이는 중앙에 천자(天子)가 있고, 그 아래 제후(諸侯)들이 있어, 천자는 각 지방의 땅을 나누어주는 대신 그들을 다스리고, 제후는 자신의 백성을 통치하며 세습하는 제도이다. 분봉제도는 주(周)나라 때 가장 잘 갖춰졌는데, 가장 중요한 관념은 혈연으로 맺어진 친족적 유대관계이다. 다시 말해서 주나라 천자와 제후, 각 제후국의 대부(大夫)들은 거의 친척 관계로 구성돼 주종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자신의 영지에서는 일정한 통치권을 인정받는 반독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들 지배층의 기본적인 관계는 윤리규범인 ‘예’ 위에서 형성됐다. 그 아래에 대부들은 자신의 영역에 속하는 백성들을 직접 다스렸는데 이들을 복종시키는 형벌의 도구로써 ‘형’을 사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러나 주나라 말기부터 이러한 신분 관계가 무너짐에 따라 서로 공격하고 정벌하기 시작했다. 종주국인 주나라가 제후들을 통솔할 힘을 상실하자 제후들 가운데 강성한 자가 나타나 스스로 패자라고 불렀다. 패자는 스스로 여러 제후들의 맹주로서 그들을 실력으로 지배했다. 그러므로 제후들은 저마다 패자가 되기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일 수밖에 없었다. 이 시대에 패자들은 고도로 중앙 집권적인 정부가 필요했다. 당시의 자유사상가들인 제자백가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대안이 아니라 지나치게 이상적인 정책뿐이었다.
참고문헌
북경대 철학과연구실 著; 박원재 譯, 『중국철학사1 : 선진(先秦)편』, 자작아카데미, 1994
장승구, 『동양사상의 이해』, 경인문화사, 2006.
풍우란 著; 정인재 譯, 『中國哲學史』, 형설출판사, 2004.
황호, 『한비자적 지혜』, 조선출판사, 미상.
한비 著; 김원중 譯, 『한비자』, 홍익출판사, 2001.
한비 著; 윤찬원 譯, 『한비자: 덕치에서 법치로』, 살림,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