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

 1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1
 2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2
 3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3
 4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4
 5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5
 6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6
 7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7
 8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8
 9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과학] 무속인과 무속신앙에 관한 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문사제자 무속인의 주재 하에 수행되는 무속신앙
1) 무속의 주체
2)무인의 종류
3) 무속신앙의 신화와 교리
4) 고대의 무인
5) 삼국시대의 무속
6) 고려시대의 무속
7) 조선시대의 무속
8) 근대의 무속
2. 신 내린 강신무와 대를 이어가는 세습무
1)무당
2) 무당의 성무과정
3) 강신무와 세습무의 의미
4) 강신무와 세습무의 학습
5) 강신무와 세습무의 분포지역
3. 강신무와 세습무의 사회적 기반으로서 활동영역(무업권)
1) 강신무와 세습무의 사회적 기반
2) 사회 변화에 따른 무속의 사회적 기반의 변화
3) 현대 무당의 실태
4. 남도지역 무속제의와 굿의 종류
1) 강신무와 세습무의 제의적인 성격의 차이
2) 남도지역의 무속제의와 목적
5. 죽은 이의 넋을 씻겨주는 씻김굿과 망자혼사굿
1)진도씻김굿의 종류
2) 진도씻김굿의 절차와 내용
3) 고흥과 신안 장산도 망자혼사굿을 근간으로 본 망자혼사굿의 절차

본문내용
1) 무속의 주체
전문 사제자인 무인. 일반적으로 무인을 무, 무당, 무녀나 하기도 하고, 남자 무인을 지칭할 때는 격이라고도 한다. 광주를 비롯한 호남 지역에서는 단골 또는 당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①무속 : 공동체신앙과 달리 전문 사제자인 무인의 주재 하에 수행되는 민속신앙의 하나인 현세 지향적인 종교
②무인 : 인간의 기원을 신에게 고하고, 또 신의 의지를 탐지하여 이를 인간에게 계시해 주는 매개인의 역할을 담당한다.
③한국의 무속신앙 : 토테미즘, 애니미즘, 샤머니즘이라고 국분 지을 수 없고 이 세 가지 성격을 포괄한다. 또 무속은 외래 종교가 들어오기 전부터 한민족의 생활 속에서 자리 잡아 왔으며 외래종교(불교, 도교, 유교)가 유입되자 무속과 융합을 했다고 할 수 있다.

2)무인의 종류
①세습무: 사제계. 무인의 가계에서 태어나 세습하여 되는 무당.
②강신무: 샤먼계. 신들려 되는 무당.

3) 무속신앙의 신화와 교리
흔히 종교 의식에 대한 지적인 표현으로 신화와 교리를 들 수 있다. 신화는 교리체계의 토대는 물론 신앙의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고, 교리체계는 신앙을 설명하고 명료하게 하며, 종교적인 행위규범의 규제원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무속도 여타의 종교처럼 무속신화와 교리체계를 갖춘 종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무속이 기독교나 불교처럼 제사공동체의 조직화와 교리체계의 체계화를 이루지는 못했지만, 아직도 민간 층에 폭넓은 종교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속은 공동체신앙과 달리 전문 사제자인 무인의 주재하게 수행되는 민속신앙의 하나인 현세 지향적인 종교라 할 수 있다.
4) 고대의 무인
재정일치시대의 제사의 주재자는 정치적인 기능과 종교적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무인이 곧 군왕으로서 군이요 신과 교섭할 수 있는 초인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은 무인을 존경하고 그의 명령에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고대 무속의 초기 모습은 부족국가 시대의 제천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예가 부여의 영고라든가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등으로 대표되는 제천의식이 그것이다. 이들 의례들은 집단가무를 하며, 국가의 안녕과 풍요와 삶의 안정을 기원하는 집단제의적인 행사로서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전문화된 무에 의해 거행되는 의례로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5) 삼국시대의 무속
고구려에서는 무인 가운데 왕의 자문에 응하는 무를 사무라 하여, 왕은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기에 앞서 사무의 자문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백제에서는 일자라는 전문적인 점치는 사람을 두고 매사의 일을 일자에게 문의하여 결정하기도 하였다. 여기서 일자는 무인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로 보여 진다. 또한 신라에서는 사성문제, 사천상제, 사대도제 등과 같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