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

 1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1
 2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2
 3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3
 4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4
 5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5
 6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6
 7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7
 8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8
 9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I. 서론
Ⅱ. 장치의 효과와 인물의 심리 묘사
1. ‘남편’이라는 관찰자의 기능
2. 일정한 패턴 배치의 기능
3. 극한적 상황 설정의 기능
Ⅲ. 아내와 집사의 대립
Ⅳ. ‘배신’의 알레고리
1. 알레고리란?
2. 속의 알레고리적 요소
V. 작품의 사회적 의미
1. 이기심
2. 인간의 불완전성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작가 이청준에 대한 소개글은 그가 문학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잃어버린 자신을 찾기 위해서’ 였다고 말하고 있다. 재학 중 군대에 간 사이 함께 자취하던 친구가 그의 성적표, 책, 일기장 같은 것을 모조리 갖고 사라져 버려서 과거의 자신을 잃었다는 것이다. 언뜻 들어서는 우스갯소리 같지만, 이청준의 작품 세계를 찬찬히 훓어 보면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지게 된다. 대동소이하지만, 이청준의 작품들은 대부분 ‘잃어버린 자신’을 확장해 ‘잃어버린 우리’, 그리고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에 대해 다루고 있지 않은가.
배우 전도연씨의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으로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영화 의 토대가 된 또한 그러한 맥락의 주제를 담고 있다. 특히 는 미완의 존재로서의 인간을 다루고 있다. 우리 조는 의 분석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탐구하고 정리하였다.

Ⅱ. 장치의 효과와 인물의 심리 묘사

1. ‘남편’이라는 관찰자의 기능

의 시점은 3인칭 관찰자 시점이다. 소설 속 관찰자는 주인공의 남편으로 등장한다. 그리하여 는 3인칭 관찰자 시점이 갖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우선, 사건의 전개를 들려주는 남편이 독자들에게 가까이 다가감으로써 독자들의 신뢰감을 얻게 된다. 물론, 관찰자이기 때문에 화자는 주인공의 심리상태를 직접적으로 독자들에게 제시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러한 점이 오히려 소설 속의 장점으로 살아난다. 심리상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므로 남편은 최대한의 묘사로 아내의 행적과 외적상태를 표현한다. 이것은 독자에게 현실감과 현장감을 부여한다. 의 벌레는 인간으로 치환이 가능한데, 작가가 의도한 바가 바로 여기에 있다. 벌레이야기를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았을 때 인간의 가장 인간적인 면을 가장 현실감 있게 표현하여 전달하는 것이 이 소설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텍스트
이청준. . 열림원. (2002년 판본)

※ 참고자료
윤병로, 조건상, 강우식 공저.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네이버 백과사전 : ‘알레고리’ (http://100.naver.com/100.nhn?docid=107374)
네이버 책 : 中 작가 소개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php?bid=2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