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

 1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1
 2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2
 3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3
 4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4
 5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07.07.27
  • 5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직행동론]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나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공병호의 변화경영을 읽고
* 준비하는 기업과 당하는 기업
* 변화할것인가 이끌려갈것인가
* 변화경영과 비전기업
* 창조성을 길러라
본문내용
출시하는 작품마다 베스트셀러가 되거나 학계의 이슈가 되는 저자의 책은 현대의 한국사회의 흐름과 트렌드를 날카롭게 분석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어떤이들은 보수적 우익사상에 사로잡혀 있다고도 하지만, 그의 분석력과 시류를 읽는 탁월함은 다른이들이 따라오기 힘들고, 거기에 읽기 쉽고, 공부하기 편하게 풀어놓는 수사학과 언변은 그를 더욱더 돋보이게 하는 재료들이 아닐수 없다. 지금부터 이 책을 읽은후 여러갈래의 생각을 나타내 보고자 한다.

현재의 상황을 보면 각종 경영지표와 자료들에서 국내 주요 기업과 해외 선진 기업의 기술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가전과 디지털 제품은 세계 시장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는 인터브랜드가 선정한 세계 100대 브랜드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세계 주요 디자인상도 국내 기업들이 석권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선전 소식을 들으면 가히 가슴이 벅차 오른다 괜시리 뜨거워진다.그러나 현실을 직시하면 그렇게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생산 공정과 디자인에서 선진 기업과의 격차를 좁히고는 있지만 기술개발과 마케팅에서는 여전히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원천 기술이 부족하고 보유 기술의 상품화 역량도 약점으로 꼽힌다. 외형에 비해 내실이 미흡한 것이다. 또한 이런 와중에 중국 업체는 풍부한 노동력과 적극적인 기술 개발, 그리고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한국을 바짝 추격해오고 있다. 올해에는 중국의 기술개발 투자가 일본을 추월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R&D 거점으로 부상했다고 한다. 선진 기업과 중국 기업의 사이에 끼여 압박을 당하는 넛 크래킹, 샌드위치 신세에 처해 있는 것이다.

이렇듯 한국 기업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경쟁 기업들을 제치고 멀찌감치 앞서나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앞서 가는 경쟁자를 쫓아가는데 익숙할 뿐 경쟁자가 없는 시장을 개척해나가는 비전과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른바 블루오션을 추구하는 기업도 기존 시장에서 부분적인 개선과 변화를 시도할 뿐 시장 자체를 바꾸는 것은 쉽사리 엄두를 내지 못한다.

창조와 혁신을 목청껏 주창하면서도 끝내 비용 절감과 운용 효율성으로 회귀하고 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답보 상황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 답은 새로운 미래를 그려내고 만들어가는 역량에 달려 있다. 다시말해 변화하고 혁신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준비하는 기업과 당하는 기업

지금 당장 눈앞의 문제에 급급해 미래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쳇바퀴만 돌리고 있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미래를 사전에 예측하고 준비해가는 기업이 있다. 요즘처럼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서 외부 시장 변화에 단기적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흐름을 읽어내는 선견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 공병호의 변화경영 - 북이십일
* 공병호의 10년후 한국 - 해냄
* 혁신과 변화 - 민영사
* 삼성경제연구소 지식경영포럼 자료참조
하고 싶은 말
* 고인물은 썩기 마련이다라는 명제를 타이틀로 잡은 공병호 박사의 변화경영을 읽고서 느낀점과 감상을 독후감으로 정리했습니다. 출시하는 작품마다 베스트셀러가 되거나 학계의 이슈가 되는 저자의 책은 현대의 한국사회의 흐름과 트렌드를 날카롭게 분석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소 보수적인 성향이 있지만, 학자의 소신에 가깝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오랜 시간이 걸렸고, 고심끝에 작성되었기에 이 글에 애착이 큽니다. 많은 도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