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

 1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1
 2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2
 3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3
 4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4
 5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5
 6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6
 7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7
 8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8
 9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9
 10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10
 11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현대사]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근대화의 정의와 식민지 근대화론

① 근대화의 정의
② 식민지 근대화론

3. 식민지 수탈론

①원시적 수탈론
②근대주의론
③내재적 발전론
④근대 극복론

4. 식민지 수탈론과 근대화론에서 논쟁이 되는 부분과 근대화론의 비판

5. 결론

6. 참고 도서
본문내용
1. 서론

광복 이후 우리나라 역사학계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주로 '수탈'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이 강하였었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개발 및 근대화'로 보는 관점인 식민지 근대화론이 대두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로써 우리의 식민지 시대를 '수탈'의 관점에서 볼 것인가 혹은 '개발'의 관점에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었다. 즉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논쟁이 시작된 것이다.
제국주의와 그 식민지에는 개발과 수탈의 양면이 존재하지만 제국주의의 식민지에 대한 궁극적인 목표가 수탈에 있음을 생각하여 볼 때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통해 한국이 근대화 되었고 그 동력으로 1960년대 이후의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옹호하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를 통하여 식민지 근대화론의 허구에 대하여 비판해 보고자 한다.

2. 근대화의 정의와 식민지 근대화론

① 근대화의 정의
근대화는 여러 가지 방향에서 그 의의를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우선 정치적으로는 독립한 국가가 전제 군주제를 입헌대의 국가로 근대 국가의 체제 변화 하는 것을 뜻한다. 경제적으로는 중세적인 경제조직과 생산 조직 즉 봉건 영주제에서 산업 자본주의와 공업화를 달성하는 것을 뜻한다. 사회적으로는 전 근대 신분제 사회로부터 시민권을 가진 국민들의 근대 시민 사회로 변하는 것을 뜻하며 문화적으로는 특권 귀족층 중심의 귀족 문화로부터 일반 평민, 국민 중심의 근대 민족 문화로의 변혁적 발전을 성취하는 것을 뜻한다.
참고문헌
강내희.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과 충격의 번역', 『문화과학』, 2002 겨울호
김동노,「식민지시대의 근대적 수탈과 수탈을 통한 근대화」, 1998, 창작과 비평(봄호)
배성준, 식민지 시대를 보는 눈-수탈론과 식민지근대화론의 지평을 넘어서-,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현장에서 미래를] 1997년 8월호 ,
신용하, '식민지 근대화론' 재 정립 시도에 대한 비판, 『창작과 비평』, 1997 겨울호
안병직,'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작과 비평』, 1997 겨울호
유재건,'식민지,근대와 세계사적 시야의 모색'『창작과 비평』, 1997 겨울호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2003

전상인, 「한국의 식민지 근대화」『동아시아 비평』
정태헌,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창작과 비평』, 1997 가을호
조석곤, '수탈론과 근대화론을 넘어서', 『창작과 비평』, 1997 여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