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

 1  [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1
 2  [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2
 3  [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3
 4  [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대 도가(道家)적 음악미 : 도(道)의 상징(象徵)
2. 중세 예술미(藝術美)의 형성 : 無와 意의 재발견
① 詩 文學에서의 虛
② 산수화에서의 虛
③ 글씨에서의 虛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중국의 산수화는 形과 質 그리고 餘白으로 이루어진다. 동양화의 여백은 그냥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우주적인 공간을 뜻하며 그 공간에 표현대상이 존재하는 유기적 공간이다.
중국에는 회화뿐 아니라 음악, 시, 글씨 등에서도 여백과 같은 虛의 위상이 깊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虛의 사상적 배경에는 노·장자의 도가사상이 깊게 깔려 있으며, 공자의 유학사상, 석가의 불교사상 또한 중요한 사상적 배경이 된다. 유학 사상에서는 中庸사상이 회화에서 여백의 표현과 연결 시킬 수 있고, 불교사상에서의 空사상과 도가사상에서의 無爲自然으로서 虛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장자의 도가사상의 사상적 배경에서 나타나는 중국문화의 虛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虛의 정신성을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虛의 운용에 따른 표현의 새로운 창작과 함께 보다 효과적인 내면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고대 도가(道家)적 음악미 : 도(道)의 상징(象徵)
고대 중국의 철학적 예술 이론으로 처음 나타난 것은 음악(音樂)의 철학이다. 유가의 음악관이 지배 계층에서 전개되고 있던 고대에 다른 한편에서는 道의 상징으로 보는 道家의 음악관이 일찍이 형성되고 있었다.
『老子』에서는 '최고로 훌륭한 음악은 오히려 귀에 들리는 소리가 아니다'라 하여 현상계의 음(音) 너머에 음악의 본체(本體)가 있음을 암시하는 역설(逆說)을 제시하였다.
『莊子』에서는 함지(咸池)의 음악을 논하면서, 음악은 절대적 진리인 도(道)를 상징(象徵)할 수 있고, 인간은 그 음악을 통하여 도를 체득(體得)하고 그것과 合一되어 참된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주장하고, 또 樂器의 소리나 地上의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는 경지, 즉 자연(自然)과 합일(合一)된 경지에서 듣는 천뢰(天 )야 말로 가장 심오한 경지의 음악이라고 보았다.
참고문헌
1. 이택후, 『華夏美學』, 東文選, 1990
2. 서복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1990
3.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
4. 류재형, 中國 第 5世代 映畵의 道家的 美學 特性,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00
5. 고봉석, 동양화에 있어서 여백의 정신적 배경에 관한연구, 호남대학교 석사논문, 2003
6. 이형국, 中國山水畵의 空間槪念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1993
7. 김영신, 추상표현주의와 동양정신 관계 연구 : 無의 개념 중심으로 , 강릉대학교 석사논문, 2002
8. 이대용, 餘白의 思想的 背景과 造形性 硏究 ,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3
9. 김충렬, 『중국철학사-중국철학의 원류』, 예문서원, 1999
10. 김병종, 『중국회화의 조형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하고 싶은 말
중국문학, 나아가 중국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비어있음'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중간대체 레포트여서 열심히 만들었고, 만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