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

 1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1
 2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2
 3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3
 4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4
 5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5
 6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6
 7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8.02.13
  • 7페이지 / hwp
  • 1,500원
  • 45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학, 종교학, 기독교학]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몰트만의 생애
3. 희망의 신학
4. 오시는 하나님
5. 몰트만의 시간이해
6.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에 대한 평가
7. 마치며...
본문내용
들어가며...
지금까지 슈바이처와 C. H. 도드 등은 자신의 종말론의 개념을 어거스틴의 시간이해를 기본으로 해서 정리해 나갔다. 인류의 역사는 일직선상의 시간의 역사이며, 슈바이처에 의하면 종말이란 이 직선이 끝나는 곳, 인류의 역사가 끝나는 곳에서 시작된다고 말한다. C. H. 도드 또한 종말이 이루어지는 곳의 시점이 다를 뿐이지, 기본적인 시간이해는 슈바이처와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지난 강의를 통해 이러한 일직선상의 시간이해는 종말을 설명하기에는 한계점이 너무나 많다는 것 또한 인식하였다.
이제 이러한 시간 이해와는 다른 시간 이해를 바탕으로, 기독교의 종말을 이야기하는 몰트만으로 눈을 돌려보자. 몰트만은 인류의 역사를 일직선상의 시간의 역사로 보지 않는다. 슈바이처가 말한 것처럼 인류 역사의 끝에서 종말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종말이 끝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몰트만은 종말을 이야기하며서, “희망”을 기독교의 핵심으로 끌어올렸으며, 종말 또한 이 “희망”을 근거로 풀이해내고 있다.
또한 몰트만은 종말론이 신학의 뒷전이 아니고, 시작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기독교는 전적으로 종말론이며 희망이며 앞을 향한 전망과 성취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또한 현재의 혁신과 변화이다. 종말론적인 것은 기독교의 한 요소가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매개체이다”라고 말한다. 이렇게 몰트만은 종말론에 대한 관심이 시들어가는 상황에서 종말론을 기독교의 전분야로 끌어들였다.
본 발제에서는 이러한 몰트만의 “미래적 종말론”의 의미를 생각해보고, 미래적 종말론의 긍정적인 면과 다른 한편의 한계들에 대한 의견들을 서술해보고자 한다.
몰트만의 생애
몰트만의 신학은 그의 처절한 인생에서의 고뇌와 고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가 왜 “희망”을 기독교의 핵심 주제로 끌어들였는지? 그리고 왜 미래적 종말론을 주장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는 그의 생애를 살펴보는 것이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몰트만은 1926년 4월 8일 함부르크의 자유스러운 개신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수학과 원자물리학을 전공하길 원했고, 성서보다는 문학작품을 더 즐겨 읽었다.
참고문헌
참 고 도 서
1. 위르겐 몰트만, 김균진 역,『오시는 하나님』(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2. 위르겐 몰트만, 전경연·박봉랑 역,『희망의 신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3. 이형기,『알기쉽게 간추린 몰트만신학』(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4. 이신건,『하나님의 나라와 이데올로기』(서울: 성광문화사, 1990)
5. 목창균, “희망신학 논쟁”,『목회와 신학』(서울: 두란노, 1994년 12월)
6. 김균진,『종말론』(서울: 민음사, 1998)
7. 김균진, “희망의 신학”,『현대 신학사상』(서울: 성광문화사, 1980)
8. 편집부 엮음,『현대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신학자 28인』(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9. 김균진, “몰트만”,『현대신학사상』(서울: 성광문화사, 1980)
10. 조익표, 화이트 헤드의 시간 이해(한신대학원(M.div) 조직신학분야 석사학위논문),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