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

 1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1
 2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2
 3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3
 4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4
 5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5
 6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6
 7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7
 8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8
 9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9
 10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10
 11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11
 12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8.06.10
  • 12페이지 / hwp
  • 1,600원
  • 48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축학, 건축디자인, 전통건축] 한국 주거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선사시대
1)주거의 시작
(1)한반도의 구석기 주거유적.
(2)중석기
(3)신석기
(4)청동기

2. 고대 국가 시대
1) 지상 주거로의 발전과 온돌 난방법의 시작
(1)지상주거의 출현
(2)온돌의 발생
2)목조 가구법의 발달과 건축재료의 생산
(1) 권위건축의 건설; 지배자의 권위 표현.
(2) 목조가구법의 발달
3)주거 계층의 분화

3. 고려 시대의 주거
1) 고려의 개국과 사회적 배경.
2) 주거 문화의 지역적 교류
3)풍수의 전래와 적용
(1) 풍수의 전래와 적용.
(2) 고려시대의 풍수.
(3) 풍수의 적용.

4. 조선시대
(조선전기)
1)계층에 따른 주거형태
(1) 사대부 주거의 성격
(2) 중인주거의 성격.
(3) 서민주거의 성격.
(4) 천민주거의 성격.
2)성리학적생활문화의 파급
(1)유교적 생활문화의 성격.
(2) 가묘건립의 확산.
(3)남녀의 영역구분.
(4)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른 거주공간의 분리.

(조선중기)
1)씨족마을의 번성
(1) 씨족마을의 사회구성.
(2) 씨족마을의 공간구성
(3) 공동영역과 시설.
2)양택론의 정립
(1) 집터의 조건
(2) 주택의 배치.
(3) 주택의 평면과 공간
3)사대부주거의 개별적 확대
(1) 사랑채의 확대.
(2) 권위적 장식성의 추구.
(3) 별당의 발달.

(조선후기)
1)조선후기의 사회변동.
2)부농주거와 서민주거의 발달
(1) 부농주거의 출현.
(2)부농주거의 건축적 성격.
(3) 거대한 장원의 형성.
3)서민주거의 발달과 지역적 특성

5.근대주택의 특징
본문내용
1. 선사시대
1)주거의 시작
(1)한반도의 구석기 주거유적.
a.한반도의 인류흔적(자연 주거)
가장 오래 된 유적 : 평양 상원군 검은모루 유적, 약 60-40만년전, 동굴
기타 구석기 유적 : 동굴이나 바위그늘 거처
b. 인공주거유적
ex)웅기 굴포리 1기층: 약 10만년전(중기 구석기)
공주 석장리 집터: 2만8천년전(후기 구석기), 집안에 화덕,
문돌(입구표시),담선 ,기둥자리.불땐자리
·면적 60m2 (10명 내외 거주)
·배수가 잘 되는 곳에 위치
(2)중석기
·반 정착 생활
·빙하가 쇠퇴하면서 기후 환경 개선, 일정한 기온 변화로 인해 굴→밖으로 이동
·나무를 이용한 인공주거 발전과정 (추정)
·인공주거의 필요성 : 사냥, 은신처의 역학(일시적) : 자연 환경에 대응한 생존의 최소한의 장치
→석기를 이용한 목재의 가공, 끈 의 이용
▷구석기 시대엔 대부분이 자연환경 그대로를 이용 한 것이 일반적이고,
인공 주거의 출현은 중기 구석기때 발견
(3)신석기
·정착생활
·움집이 대표적: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 면적 : 약 30㎡(7명정도 거주)
·움의 중앙: 화덕자리, 저장구멍
·움집 건설의 의미
-기후 대응능력의 발달 ; 지표이하 바닥면의 온 도변화 적음
-풍압에 대응한 내력적 구조; 구조체의 높이 낮춤
-정착형 주거로의 발전 ; 정착을 위한 주거의 내력성, 환경성능의 개선
⇒신석기에는 땅을 파서 움집을 건설하였으며 기후와 외력에 대응하는 능력이 진보되었다.
(4)청동기
·반움집, 움집에서 지상주거로의 중간단계
·집 터의 틀은 산의 낮은 곳에 위치
·집안 내부 구조가 복잡해짐
-수직 벽체가 있는 반 움집 →벽과 지붕이 분리
-바닥의 차별화 →높이 차를 두어 공간 구획 효과
-간막이 벽의 사용 →주거 내부 공간의 분리
·중앙에 위치하던 화덕이 한쪽에 편재되거나 2개 이상의 화덕
·북쪽 지방의 움의 깊이는 기후의 영향으로 중·서부 보다 깊다
2. 고대 국가 시대
1) 지상 주거로의 발전과 온돌 난방법의 시작
(1)지상주거의 출현
·배경: 계층 분화와 고급화
철제 건축공구의 발달(목재 가공 능력발전)
·의의: 출입동선 간편화
침수 피해 절감
지하 습기의 배제
수직 벽체에 창호 설치 가능(환기,일조 등 환경 성능 개선)
▷지상 주거가 대두됨에 대두 됨에 따라 새로운 난방방식 요구 ⇒온돌의 발생
(2)온돌의 발생
배경 ; 지상주거로 발전함에 따라 난방의 필요성 대두.
-신석기 시대 ; 움집의 지열과 화덕.
-청동기 시대 ; 화덕과 긴 부뚜막.
-철기 시대 ; 고래의 축조, 외줄고래.
-고대이후 ; 고래수의 증가, 전면온돌 설치, 아궁이와 온돌방의 분리.

참고문헌
새로 쓴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강영환: 기문당: 2002
옥살림집을 짓다: 김도경: 현암사: 2004
우리한옥: 신영훈 김대벽: 현암사: 2005
집-6000년 인류주거의 역사: 노버트 쉐나우어: 다우출판사: 2004
한옥의 공간문화: 한옥공간연구회: 교문사: 2004
한옥의 향기: 신영훈 김대벽: 대원사: 2002
한옥의 조형의식: 신영훈 김대벽: 대원사: 2002
산수간에 집을 짓고: 서유구 저 안대희 역: 돌베개: 2005
집의 사회사: 강영환: 1994
한국의 주거민속지: 김광언: 열화당: 1998
우리 옛집 이야기: 박영순 외: 열화당: 1998
한국의 전통초가: 윤태원: 재원: 1998
한국의 전통민가: 주남철: 마르케: 1999
한국주택건축: 주남철: 일지사: 1980
한국주거사: 홍형욱: 민음사: 1992
한국사이야기: 이이화: 한길사: 1998
한국건축사: 대한건축학회: 기문당: 199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