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

 1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
 2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2
 3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3
 4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4
 5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5
 6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6
 7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7
 8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8
 9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9
 10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0
 11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1
 12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2
 13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3
 14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4
 15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5
 16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6
 17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7
 18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8
 19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19
 20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애발달] 외동이의 정체감의 특성과 그 형성과정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외동이의 정체감에 대한 선행 연구
1) 외동이의 정체감 및 성격 특성
2) 외동이의 정체감·특성이 형성된 배경 및 요인

2. 설문조사와 그 결과 및 분석
1) 설문지의 목적과 내용
2) 설문 결과와 설문 결과에 대한 분석

3. 인터뷰와 그 결과 및 분석
1) 인터뷰의 내용
2) 인터뷰 결과에 대한 분석

4. 설문조사와 인터뷰에 결과와 분석에 대한 통합적 고찰 및 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록
1. 설문지 원문
2. 인터뷰 녹취본
1) 외동이 인터뷰 녹취본
2) 첫째 인터뷰 녹취본
3. 설문결과의 구체적 통계



본문내용
Ⅰ. 서론

본소논문은 외동이의 정체감 형성 및 그 특성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앞으로 본문에서 사용할 ‘외동이(one-child)' 라는 용어는 ’남녀 구분 없이 형제자매가 없고 혼자 자라는 아이‘ 로 정의하기로 한다. 동생이 태어나지 않은 첫째 아이의 경우, 일정 기간 동안은 외동이와 같은 환경에서 자랄 수 있으나, 본보고서에서의 연구 대상은 아동이 아니기 때문에 동생이 태어나지 않은 첫째 아이의 경우 ’외동이‘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이 소논문의 주제인 ’외동이의 정체감 형성 및 특성‘에서 ’정체감‘ 이란 ’자아정체감‘을 일컫는 것으로 학술적으로 ’자아정체감‘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자기 동일성에 대한 자각인 동시에 자기의 위치, 역할, 능력 및 책임에 대한 분명한 인식. 본소논문에서는 특히 외동이 자신이 인식하는 자신의 정체감, 즉, 외동이의 위치, 역할, 능력 및 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제까지 외동이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외동이 가정의 비율이 늘면서 관련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의 대가족 중심의 한국 사회에서는 외동이 가정을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대가족 제도를 바탕으로 한 농업사회에서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했고, 현대사회에 비해 다수의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이 단순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영희·고태순, 함께 생각해 보는 아동발달과 육아, 양서원, 2006, p. 144.
김혜경 외 6명 공저,『가족복지론』, 공동체, 2006, p. 159.
박영애 외 4명 공저, 현대인의 자녀양육, 학지사, 2005, pp. 308-309.
박영인, . 2003. pp. 4-5, 8.
이소희 외 8명 공저,『현대가족복지론』, 양서원, 2005, pp. 400-403.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센터, 현대 사회와 부모,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p. 237.
클리프 아이잭슨·크리스 래디쉬, 출생의 심리학, 21세기북스, 2005, p. 62-8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