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

 1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
 2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2
 3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3
 4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4
 5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5
 6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6
 7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7
 8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8
 9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9
 10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0
 11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1
 12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2
 13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3
 14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4
 15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5
 16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6
 17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7
 18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8
 19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드리마] TV드라마 네멋대로해라 -텍스트와 사회적 맥락 비평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Contents

1. 서론 : 문제제기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 문제제기 및 목적

모든 것은 변화한다. 그것은 시간의 흐름 속에 있는 TV 역시 마찬가지이다. 정권과 정책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동시에 소비의 트렌드, 또한 각 인간 군상들의 생활상을 쫒으며 TV역시 변화해왔다.
마찬가지로 드라마 역시 진화했다. 1990년대까지의 드라마들이 대부분 통속성을 위시한 소위 “뻔한 공식의 드라마”가 주류를 차지한 시대였다면, 2000년대 들어 등장한 “다모”, “내 이름은 김삼순” 등의 드라마는 이전의 뻔한 공식의 틀을 깬 새로운 부류의 드라마들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드라마들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그 시대적 구분은 어떻게 찾아야할까? 그러한 구분은 크게 사회적인 변화와 드라마 내부적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 2000년대 들어와 발달한 인터넷은 수용자를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능동적인 수동자의 지위로 격상시켰고, 그 외 월드컵과 디지털 방송의 개국은 또한 드라마의 변화를 줄기차게 요구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경우는 커다란 변화를 겪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것은 무엇보다 장르에 얽매인 관행적인 제작 시스템과 시청률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이것은 드라마의 태생적인 한계로서 앞으로도 크게 변하기는 힘들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드라마의 경향을 살펴보면 1990년대의 드라마와 2000년대의 드라마들은 닮은 듯하면서도 분명히 다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접점을 차지하고 있는 드라마인 MBC TV 미니시리즈 “네 멋대로 해라”(극본: 인정옥, 연출: 박성수, 2002년 7월 3일~2002년 9월 5일, 수목드라마 )를 살펴봄으로써, 드라마 “네 멋대로 해라”가 이러한 접점을 차지하게 된 이유와 그 의의와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특히 ‘네 멋대로 해라’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15% 내외의 낮은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을 통해 수용자들(매니아들)의 인기를 얻으면서 소위 ‘팬덤드라마’라는 명칭과 더불어 드라마에 대한 담론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참고문헌
- 원용진, 2000,‘텔레비전 비평론’,한울 아카데미
- 김진국, 1999,‘문학현상학과 해체론적 비평론’ ,예림기획
- 알프레드 L 게린 외, 2000,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한신문화사
- 백선기, 2001,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 아사버거, 1991, ‘대중매체 비평의 기초’,한국사회 언론연구회 매체비평분과
- R.알렌, 1992,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나남신서
- 김정기, 2004, ‘한국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www. kbi.re.kr(한국방송영상진흥원)
-www.naver.com
-www.google.co.kr
-cafe.daum.net/AsYouLikeIt30(네 멋30)
-cafe.naver.com/gaury.cafe (가우리 학문 공동체 카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