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

 1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
 2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2
 3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3
 4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4
 5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5
 6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6
 7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7
 8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8
 9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9
 10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0
 11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1
 12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2
 13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3
 14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4
 15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5
 16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6
 17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7
 18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8
 19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19
 20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커뮤니케이션] 서사적 뮤직비디오의 변화의 양상 -`To heaven`에서 `세글자`까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1. 뮤직비디오의 이미지 구성 방식 ° 2
2. 연구 의의 ° 2~4

Ⅱ. 연구 배경
1. 기존 연구에 대한 탐색 ° 4~5
2. 연구 대상 ° 5
3. 연구 방법 ° 5~7
4. 모임 일지 및 발표일 ° 7~9

Ⅲ. 깊이 들어가기
1. 뮤직비디오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 ° 9~15
2. 내러티브형 뮤직비디오의 한계점 ° 15~18

Ⅳ. 결론
- 내러티브형 뮤직비디오의 발전 방향 ° 18~20

Ⅴ. 참고문헌 ° 21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음반판매와 홍보를 위해 제작되었던 뮤직비디오는 이제 초기의 기능을 넘어서 뮤직비디오 자체가 하나의 새로운 매체이자 상품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이것은 1981년 24시간 뮤직비디오 전문 방송 채널인 MTV의 개국과 함께 본격화 된 현상으로, 청각적 차원에서 감상했던 음악이 단순히 듣고 즐기는 차원을 넘어 보고 즐기는 시청각의 매체가 된 것이다. 영상에 익숙한 젊은 세대들이 뮤직비디오의 주 수용자 층으로 부상하면서 이제 그것은 영상미디어 가운데 후기 자본주의적 문화 산물 중 가장 최신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 뮤직비디오의 이미지 구성 방식

뮤직비디오의 이미지 구성 방식은 크게 두 가지 경향과 그것이 혼용된 경우로 나타난다. (김훈순, 2001)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구성 방식은 '스타 이미지 중심형' 으로서 주로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노래하고 춤추는 가수의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다. 인과관계가 없는 현란한 장면들이 매우 빠르게 교차 편집되며 영상 자체의 스타일에 중점을 두는 뮤직비디오가 이에 속하는 데, 시공간 배경의 모호성과 단절을 통한 분열된 서사구조를 통해 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던한 속성을 드러내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스타 이미지 중심형은 주로 음악적 장르가 댄스, 힙합, 락(rock) 이고 외모, 섹시함, 춤동작 등을 내세울 수 있는 가수들 특히 여성 가수의 뮤직비디오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사진적 뮤직비디오라 할 수 있는 이러한 경향 외에 또 하나의 큰 흐름은 영화적 뮤직비디오라고 할 수 있다.(정우숙, 2001) 영화적 뮤직비디오란 말 그대로 기-승-전-결의 뚜렷한 서사 구조를 가지고 그 자체가 하나의 짧은 드라마 혹은 영화처럼 감상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글에서는 '내러티브형'이라 칭하겠다.
내러티브형 뮤직비디오는 가수의 직접적인 출연보다 유명 스타를 활용하고 많은 제작비를 투입하여 스케일을 키우는 방식으로 주목을 끈다.
참고문헌
양정혜(2004), 뮤직비디오 제작의 관행이 텍스트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제작진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8-2

최민성(2002), 뮤직비디오 이미지 연구의 출발, 한국언어문화학회 22권

김훈순(2001), 한국뮤직비디오의 포스트모더니즘과 성정치학, 한국방송학보 15-3

네이버 http://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