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생물] 식생과 토양의 척도로서의 응애목

 1  [산림, 생물] 식생과 토양의 척도로서의 응애목-1
 2  [산림, 생물] 식생과 토양의 척도로서의 응애목-2
 3  [산림, 생물] 식생과 토양의 척도로서의 응애목-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산림, 생물] 식생과 토양의 척도로서의 응애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적 요

서 론

조사지 개황

연 구 방 법

결과 및 고찰

1. 비교 지점 선정 기준

2. V값의 설정과 의미 고찰

3. 비교 지점 선정과 식생 분석

4. 토양생물 분석

5. V값과 날개응애아목

6. 침엽수림과 날개응애아목

7. V값의 결정요소과 날개응애아목

8. 식생과 날개응애아목

9. T값의 의미

결 론


본문내용
적 요

본 연구의 목표는 토양과 식생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토양동물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토양 성분 분석을 통해서 상이한 경향성을 보이는 지점을 선정 ․ 조사하여 토양동물의 서식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비교 지점의 토양동물 서식 경향성 분석에서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토양동물은 응애목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애목으로 범위를 좁혀 논의를 전개하였다. 응애목은 토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1차 소비자이기 때문에 응애목과 생태 환경간의 관계 분석은 우리나라의 토양 환경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관악산에서 날개응애아목 개체 수는 토양의 유기물 분해속도와 반비례적 상관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날개응애아목의 개체 수는 토양의 유기물 분해속도를 나타내주는 척도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날개응애아목 개체 수는 침엽수림에서 반비례적 경향성을 더 확실하게 나타내어, 환경을 나타내는 척도로서의 날개응애아목은 침엽수림에서 더 신뢰성이 크다고 결론 내렸다.
날개응애아목, 중기문아목, 전기문아목 개체 수의 상대적 비율도 생태 환경을 나타내주는 간접적인 척도가 될 수 있다. 침엽수의 낙엽분해과정에서 초반에는 주로 날개응애아목이 서식하다가 낙엽 분해가 진행될수록 중기문아목과 전기문아목이 더 서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응애 아목 개체 수의 상대적 비율은 침엽수림의 낙엽 분해 진행 정도를 나타내주는 간접적인 척도가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본 연구에서는 응애목을 통해서 생태 환경을 나타내주는 토양동물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증명했으며, 토양동물은 서식하는 토양과 식생을 나타내주는 척도로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