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

 1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
 2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2
 3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3
 4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4
 5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5
 6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6
 7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7
 8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8
 9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9
 10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0
 11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1
 12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2
 13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3
 14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4
 15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5
 16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6
 17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7
 18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8
 19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19
 20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작소설이 스키마로써 인지적 틀을 구축 시 영화의 능동적 수용과정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 목적 및 개관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영화와 소설
2) 영화
3) 영화와 소설의 차이점

2. 심리학적 배경이론
1) 스키마 (schema)
2) 지각과정과 인지적 틀의 영향
3)통제 처리 대 자동 처리
4) 선별적 주의 (attention)
5) 선별적 통찰 (insight)
6) 창의성 (creativity)
7) 반발이론 (psychological reactance theory)
8) 무심적 사고과정 (mindless process of thought)

Ⅲ. 연구 가설

Ⅳ. 연구 방법
1. 사례분석
2. 설문 조사
3. 실험
1)실험 1: 양들의 침묵
2)실험 2: 춘향전
3)실험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Ⅴ. 조사의 구체적 설계와 결과

1.사례 분석
1)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2) 양들의 침묵
3)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가설 4 검증)

2. 설문 조사
1) 설문조사의 목적과 설계
2) 설문조사 결과
3.실험 설계 및 결과
1)실험 1: “양들의 침묵”
2)실험 2: “춘향뎐”
3)실험 3: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Ⅵ. 연구 결과에 따른 가설의 검증
1. 가설 1의 검증

2. 가설 2의 검증

3. 가설 3의 검증

4. 가설 4의 검증

Ⅶ. 결론 및 검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부록 2
부록 3-1
부록 3-2
부록 4-1
부록 4-2
본문내용
I. 연구 목적 및 개관

문학과 영화, 특히 소설과 영화는 그 소통의 구조면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소설과 영화 모두 작가 혹은 감독이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메시지를 대사와 묘사 등의 방법을 통해 표현한다. 이러한 소통의 유사성 때문에 실제로 많은 소설이 영화화되고 반대로 많은 영화들이 소설화되기도 한다.
소설과 영화간의 소통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대게 소설과 영화를 매우 다른 차원의 것들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소설은 문자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독자가 상상력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스토리와 상황을 이해한다고 생각하지만 영화는 일방적으로 관객에게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들을 주입하기 때문에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게 된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원작 소설에 비해 영화 감상에 선별적 주의(attention)를 기울이는 것은 우리가 의도한 주의가 아니라 자극에 의한 포획이 우세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우리는 정말로 영화는 수동적으로 주입되는 이미지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다.
우선 영화 속에는 생산자의 영향의도(Wirkungsintention)가 있다. 영화 시나리오 작가가 스토리와 대사를 통해 표현하려는 것이나 감독이 장면과 음악을 통해 표현하려는 의도들이 담겨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영향 잠재력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생산자의 영향의도와는 다르다. 즉 하나의 예술 텍스트로서의 영화는 생산자들의 의도와는 달리 영화 언어적으로, 그리고 주체적 형상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수용자들에게 전혀 다른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보완적 성격의 제품으로 완성된다. 이러한 것들을 기반으로 관객은 실제로 작품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기존의 관전에서는 이러한 영향을 자극과 반응의 관계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견해가 통용되었다. 관객은 영화가 보여주는 이미지들(자극)에 의해 수동적으로 반응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수용 행위가 수동적으로 당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능동적 해석과 자기화 과정이라는 사실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화에 대한 정보와 의미를 선택하고 인지하는 작업은 실제 수용자의 기대 지평에 의해 막강하게 규정되는 것이다. 사회 계층이나 사회적 규범에서부터 매체에 대한 기존의 경험에 이르는 수많은 요소들이 수용자의 관심이나 기대 지평을 결정한다. 수용자의 기대지평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선택적 수용’의 원인이 된다. 수용자는 작품의 내용적 차원에서 묘사된 기존의 관념이나 규범 등을 수용 과정에서 확인하고 이에 대해 지지를 보내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수용 양상만 전개되는 것은 아니며, 덜 중요한 영역에서는 지적 욕구라거나 호기심이 우세하게 작용하기도 하고, 자기 정체성이 상한 수용자라면 오히려 영화 속에 제시된 행동이나 표본이나 규범에 배치되는 제안들을 찾기도 한다.(볼프강 가스트, 1999)
그러나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영화에 세뇌당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의 인식체계를 가지고 본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영화가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본다라는 관점에서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실제로 굉장히 많을 것이다. 그 중에서 이번 논문에서는 사람의 인지 방법에 대한 심리적 이론들을 토대로 소설이 영화화된 경우에 있어 영화를 볼 때 소설이 사전지식으로서 관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에 있어서 관객이 어떠한 대응을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 볼 것이다. 그리고 소설 이외의 다른 여러 영향들에 관해서도 부차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영화와 소설
1) 소설
텍스트로써의 표현과 텍스트로 표현하기 위한 묘사의 방법, 시점의 차이, 기술방법이나 사건 전개의 방향이나 진행 등을 바꾸어가며 의사전달을 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으므로 상당히 자유롭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사건을 이야기 한다하더라도 시점의 차이 하나 만으로도 전혀 다른 작품과 시간, 묘사가 부각된다.

참고문헌
박찬욱(1995). 박찬욱의 오마주. 서울: 마음산책.
볼프강 가스트(1999). 영화 - 문학과 영화. 서울: 문학과 지성.
송관재 외(1998).생활속의 심리학. 서울: 학문사.
이일범(2005). 문학 풍경 영화 풍경. 서울: 신아사.
김성곤(1997). 문학과 영화. 서울: 민음사.
송성욱(편)(2004). 춘향전. 서울: 민음사.
공지영(2005).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서울: 푸른숲.

조엔. K. 롤링(2001).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김혜원 역). 서울: 문학수첩.
토머스 해리스(2006). 양들의 침묵.(이윤기 역). 서울: 창해.
Robert J. Sternberg(2005). 인지 심리학.(김민식, 손영숙, 안서원 역)(3th ed.). 서울:박학사.
Richard J. Gerrig, Philip G. Zimbardo(2004).심리학과 삶.(16th ed.). 서울: 시그마 프레스.
schneider, W & Bjorklund, D. F.(1998).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2. New york: Wiley.

Yantis, S(1993). Stimulus-drinen attentional captur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5).
Sternberg,R.J.(1995). For whom the bell curve tolls: the review of the bell curve. Psychological Scienc,6.

크리스 콜럼버스(감독).(2001).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영화].영국: 워너브러더스.
송해성 (감독).(2006).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영화]. 한국: 프라임엔터테이먼트 외.
임권택 (감독).(2000). 춘향뎐[영화]. 한국: 태흥영화사.
조나단 드이(감독).(1991). 양들의 침묵[영화]. 미국: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