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

 1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1
 2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2
 3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3
 4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4
 5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5
 6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6
 7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7
 8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8
 9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사]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견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국어사연구의 목적
-국어사시대구분의 필요성
2.본론
-국어사시대구분
-학자들의 국어사 시대구분
3.결론
-제 견해
본문내용
▶김동소의 국어사 시대구분 (한국어 변천사, 1998)
김동소는 국어사 시대구분에 있어서 기존의 국어사 시대구분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였다.
첫째, 국어사 시대구분은 대상 언어의 변천 모습을 면밀히 관찰하여 그 언어가 최초의 자료를 남긴 이후 몇 번 커다란 변화, 즉 특별히 학습하지 않는 한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변화를 입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둘째, 한국어 변천사의 상한에 대한 검토에 있어서 언어역사는 당대 언어자료의 출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토착 화자에 의해 기록되어야 신빙성이 있다고 보았다.
(토착 화자가 기록한 최고의 언어자료는 광개토왕 비문)
셋째, 시대구분의 근거에 있어서 언어자체의 획기적인 변화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고 보았다. 14세기의 모음추이는 국어사상 최대의 사건이고, 근대한국어의 출발은 임진왜란이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 ’의 비음운화/구개음화/원순모음화/단모음화/전설모음화 등이 완성된 18세기 이후로 보았다.



고대 한국어
8~13세기까지의 언어
8~11세기 -> 전기고대한국어
11~13세기 -> 후기고대한국어
중세 한국어
13세기 후반 (충렬왕 즉위 원년 1247) ~ 18세기 (영조 즉위 1724)
근대 한국어
18세기초 ~ 현대
✰김동소가 제시한 국어사 시대구분

김동소의 국어사 시대구분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13세기 몽고족은 40여 년에 걸쳐 한반도를 공략한 이후 고려 왕조와의 강화를 성립(고려 고종 46년 1259), 이후 한국어는 몽고어와 몽고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아 음운 체계의 변동, 모음조화기법 도입, 몽고어계 어휘 수용 등으로 한국어의 면모가 일신됨, 고려 충렬 왕 즉위(1274)를 경계. 12세기 초의 {계림유사}와 14세기 후반의 {조선관역어}은 자/모음 체계의 커다란 변화를 보임.
▸중세국어는 몽고 글자 등 주위 여러 민족 글자들의 자극을 받아 제정된 우리 민족 글자인 훈민정음을 이용하여 풍부한 문헌자료 남김.
▸근대국어는 영조즉위(1724)를 경계로 사회/경제/문화적으로 획기적인 변화를 겪음.

ⅲ결론
이상으로 다양한 학자들의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견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 초기 정치적 구분에 의한 국어사의 시대구분이 이루어졌으나, 점차 언어 내적인 변화를 기준으로 삼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의 국어사 시대구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하고 싶은 말
국어사 시대구분에 대한 제 견해입니다.
기존에 있던 자료들을 참고해서 새롭게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