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

 1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
 2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2
 3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3
 4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4
 5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5
 6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6
 7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7
 8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8
 9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9
 10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0
 11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1
 12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2
 13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3
 14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4
 15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5
 16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6
 17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7
 18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8
 19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19
 20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학]루소의사회계약론 1부 2부 3부 4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장 자크 루소 소개


2. 서론


3. 본론 - 1부, 2부, 3부, 4부


4. 결론 - 사회계약론에 대한 견해

본문내용
1. 장 자크 루소 소개

스위스 제네바에서 출생하였다. 가난한 시계공의 아들로 태어나, 어머니가 루소를 낳다가 죽자 아버지에 의해 양육되었다. 10세 때는 아버지마저 집을 나가 숙부에게 맡겨졌으며, 공장의 심부름 따위를 하면서 소년기를 보냈다. 16세 때 제네바를 떠나 청년기를 방랑생활로 보냈는데, 이 기간에 바랑 남작부인을 만나 모자간의 사랑과 이성간의 사랑이 기묘하게 뒤섞인 것 같은 관계를 맺고, 집사로 일하면서 공부할 기회를 얻었다.
1742년 파리로 나와 디드로 등과 친교를 맺고, 진행 중인 《백과전서》의 간행에도 협력하였다. 1749년 디종의 아카데미 현상 논문에 당선한 《학문과 예술론》을 출판하여 사상가로서 인정받게 되었다. 그 뒤 《인간불평등기원론 》(1755), 《정치 경제론》(1755), 《언어기원론》(사후 간행) 등을 쓰면서 디드로를 비롯하여 진보를 기치로 내세우는 백과전서파 철학자나 볼테르 등과의 견해 차이를 분명히 하였다. 특히 《달랑베르에게 보내는 연극에 관한 편지》(1758) 이후 디드로와의 사이는 절교상태가 되었고, 두 사람은 극한적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독자적 입장에 선 루소는 다시 서간체 연애소설 《신 엘로이즈》(1761),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논한 《민약론》(1762), 소설 형식의 교육론 《에밀》(1762) 등의 대작을 차례로 출판하였는데, 특히 《신 엘로이즈》의 성공은 대단하였다. 그러나 《에밀》이 출판되자 파리 대학 신학부가 이를 고발, 파리 고등법원은 루소에 대하여 유죄를 논고함과 동시에 체포령을 내려 스위스 ·영국 등으로 도피하였다. 영국에서 흄과 격렬한 논쟁을 일으킨 후, 프랑스로 돌아와 각지를 전전하면서 자전적 작품인 《고백록》을 집필하였다.
1768년 1745년 이래 함께 지내온 테레즈 르바쇠르와 정식으로 결혼하였다. 그 후 파리에 정착한 루소는 피해망상으로 괴로워하면서도 자기변호의 작품 《루소, 장자크를 재판한다 》를 쓰고,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을 쓰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파리 북쪽 에르므농빌에서 죽었다. 그가 죽은 지 11년 후에 프랑스 혁명이 일어났는데, 그의 자유민권 사상은 혁명지도자들의 사상적 지주가 되었다. 1794년 유해를 팡테옹(위인들을 合祀하는 파리의 성당)으로 옮겨 볼테르와 나란히 묻었다.
평생 동안 많은 저서를 통하여 지극히 광범위한 문제를 논하였으나, 그의 일관된 주장은 ‘인간 회복’으로, 인간의 본성을 자연상태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자연상태에서는 자유롭고 행복하고 선량하였으나, 자신의 손으로 만든 사회제도나 문화에 의하여 부자유스럽고 불행한 상태에 빠졌으며, 사악한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다시 참된 인간의 모습(자연)을 발견하여 인간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인간 본래의 모습을 손상시키고 있는 당대의 사회나 문화에 대하여 통렬한 비판을 가하였으며, 그 문제의 제기 방법도 매우 현대적이었다. 한편,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자아의 고백이나 아름다운 자연묘사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