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이해] 주체사상

이미지
준비중입니다.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의 이해] 주체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체사상(主體思想)의 등장

2. 주체사상의 사상적(思想的) 기초

3. 주체사상의 지도원리(指導原理) : 4대자주노선(自主路線)

(1) 사상(思想)에서의 주체

(2) 경제에서의 자립(自立)

(3) 정치에서의 자주(自主)

(4) 국방에서의 자위(自衛)

4. 주체사상 내용의 변화과정

5. 주체사상 비판
본문내용
※ 주체사상


1. 주체사상(主體思想)의 등장

북한의 통치이념은 주체사상이며 김일성주의이다. 그러나 북한정권이 처음부터 주체사상을 공식적인 정치지도 이념으로 채택한 것은 아니었다. 북한의 주체사상은 초기에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발전적 계승을 목표로 하여 출범하였으나, 궁극적으로는 독자적으로 북한의 혁명전통과 주체사상을 강조하는 형태로 변화·발전되어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 일련의 과정을 도표화하여 살펴보면 아래 과 같다.


북한에서 주체·주체성 확립 문제가 공식적으로 처음 제기된 것은 1955년 12월 28일의 일이었다.1) 이 날 조선노동당 선전선동원대회에 참석한 김일성은“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敎條主義)와 형식주의(形式主義)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데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다. 그 뒤 10여년 동안 김일성의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 주체라는 용어가 북한의 정치무대의 전면에 등장했다가 사라지곤 했다.
당시 북한의 주체노선은 체계화된 정치 이데올로기의 형태를 갖춘 것이 아니었다. 북한 당국이 사상사업에서“주체를 바로 잡자”라거나“주체를 확립”해야 한다는 표현에서 벗어나‘주체사상’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것은 1960년대 초반이었다.2) 소위 주체사상의 4대원칙이 정식화된 것도 1955년 김일성이 최초로 주체 확립을 주장하고 나선 이후 1960년대 중반까지 서서히 진행된 일이었다. 김일성은 1965년 4월 반둥회의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여 알리 아르함 사회과학원에서 연설하면서“사상에서의 주체, 정치에서의 자주, 경제에서의 자립, 국방에서의 자위”라는 주체사상의 4대원칙을 천명했었다. 그러나 사실상 북한 내부에서는 1955년 사상에서의 주체를 강조한 것을 필두로 1956년에는 경제에서의 자립, 1962년에는국방에서의 자위를 주장했고 1966년에 이르러서야 외교에서의 자주를 언급하는 등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 주체사상의 체계화가 진행되었다.3)
1967년 10월 26일 북한 최고인민회의는「공화국 정부의 10대정강」을 발표하면서 주체사상이 북한정권의 정책지도 이념이라는 점을 선포하였다. 그 후 1970년 조선노동당 제5차 당 대회에서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맑스-레닌주의를 함께 당의 공식 이데올로기로 채택하였다. 그러나 1980년 제6차 당 대회를 통해 북한정권은 당규약 전문에서“조선로동당은 오직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주체사상, 혁명사상에 의해 지도”된다고 천명함으로써 주체사상을 공식적인 정치지도 이념으로 규정했다.

참고문헌
.
하고 싶은 말
교양과목 수강시 제출한 과제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