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

 1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1
 2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2
 3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3
 4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4
 5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5
 6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6
 7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연극] 모놀로그, 모노드라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모놀로그의 정의와 역사
정의
역사
2. 모놀로그에서 볼 수 있는 특징.
2-1. 배우-
2-2. 관객-
2-3. 희곡-
2-4. 연출-
3. 무엇을 위해 1인극(모놀로그)를 하는가.
본문내용
1. 모놀로그의 정의와 역사

정의
한 사람의 배우로 상연되는 극.
고대 로마의 판토미무스(phantomimus)에서 보이듯, 음악반주에 맞추어 합창댁 줄거리를 노래하면 배우가 몸짓으로 시각화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좀 더 내면성을 중시하여, 한 인물의 심리적 변화를 정확히 또는 상징적으로 그려내는 드라마를 가리킨다.

역사
연극의 기원이 제의에서 비롯되었다는 정설과 고대 그리스의 연극에 의하면 초기의 연극은 대체로 1인극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에서 모노드라마는 가장 근본적인 연극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고대 로마의 판토미무스(phantomimus)에서도 그 예가 보인다. 그러나 인간 세계의 모방이라는 측면에서 1인극은 그 표현의 범위가 너무나 한정되는 탓에 뚜렷하게 장르화되지 못한다.
모노드라마가 비로소 하나의 장르로 정착하게 된 것은 18세기 말 독일의 명배우였던 J.브란데스가 혼자 진행하는 극을 연출하고 연기하면서부터였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안톤 체홉의 나 장 콕토의 등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성공적인 모노드라마가 극히 드물다.
모노드라마라는 장르가 단순히 1인의 배우가 줄거리를 시각화하는 것을 넘어 한 인물의 내면을 표현해내는 장르로 정립된 데에는 20C 초 러시아의 에우레이노프의 영향이 크다. 그는 ‘희곡은 내적 자아의 투영(投影)이어야 하고, 한 사람의 인간은 여러 가지 실체를 지녔으므로 그것을 등장인물들이 연기함으로써 주관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이 객관화되어 저마다 관객과의 결합이 생기는 것이다’라는 독자적인 모노드라마론을 전개했다.
모노드라마의 이러한 속성 때문에 20세기에 들어와 모노드라마는 일종의 전위적 형태의 연극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기 시작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 상업주의 연극이 붐을 일으키던 시절, 1977년 故 추송웅이 이라는 작품으로 모노드라마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다. 1981년에 등장한 의 김시라도 대표적인 1인극 배우로 국내 모노드라마 발전에 일조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공연법 개정에 힘입어 150석 내외의 객석을 가진 작은 무대의 소극장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극장규모에 맞는 1-2인극을 선호하게 되었고, 젊은 세대가 문화소비계층으로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