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학습장애

 1  [심리학] 학습장애-1
 2  [심리학] 학습장애-2
 3  [심리학] 학습장애-3
 4  [심리학] 학습장애-4
 5  [심리학] 학습장애-5
 6  [심리학] 학습장애-6
 7  [심리학] 학습장애-7
 8  [심리학] 학습장애-8
 9  [심리학] 학습장애-9
 10  [심리학] 학습장애-10
 11  [심리학] 학습장애-11
 12  [심리학] 학습장애-12
 13  [심리학] 학습장애-13
 14  [심리학] 학습장애-14
 15  [심리학] 학습장애-15
 16  [심리학] 학습장애-16
 17  [심리학] 학습장애-17
 18  [심리학] 학습장애-18
 19  [심리학] 학습장애-19
 20  [심리학] 학습장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심리학] 학습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의사소통과 학습장애
1. 기술
2. 역사적 배경
3. 언어발달과 장애
4. 의사소통 장애
5. 학습장애
6. 치료와 예방
학습장애의 자가진단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사소통과 학습장애

의사소통 장애와 학습장애는 읽는 법과 더하기 방법을 배웠으나 글자들과 숫자들이 비슷하게 보인다. 그러나 의사소통 장애나 학습장애가 있는 아동이나 성인도 배울 수 있으며 그렇지 않는 사람들만큼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장애는 일반적으로 국한된 영역의 학습에만 영향을 준다. 일상적 삶에 손상을 줄 정도로 심각한 경우는 드물지만, 이 장애 때문에 생활에 스트레스가 많다.


1. 기술

정신지체나 뇌 손상처럼 분명한 상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생긴 학습 불능을 언급하는 「학습 불능」 이라는 일반적 용어는 DSM-IV에서 더 구체적으로 언급되면서 학습 장애나 의사소통 장애로 대치되었다. 학습 불능은 정상 지능이나 평균이상의 지능을 가진 사람이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이나 파지하는 방식 또는 표현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기술이나 능력 등으로써 언급되기도 하는 “중다 유형”의 지능이란 개념에서는 지능의 다양한 형태를 인정한다. 중다 지능의 관점은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리 지능, 공간지능, 운동지능, 개인 내 지능, 대인관계 지능이 있다.
학습장애에는 읽기능력에서 특정한 문제(읽기장애 또는 난독증), 수학능력에서 문제(수학 학습장애), 쓰기 능력 문제(쓰기 표현 장애) 등을 나타내는 진단 용어이다.

2. 역사적 배경

1933년에 학습에서 예기치 못한 양상의 강점과 특정한 양상의 약점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19세기 후반에 의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를 치료한 의사들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언어장애 연구에 대한 선구자인 Franz Joseph Gall은 뇌 손상을 입은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환자들은 말로써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히 표현하는 능력을 상실했으나 다른 지적능력의 손상을 보이지 않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기체의 의학적 손상에 근거한 이 초기 발견을 통해 학습 불능이 있는 사람은 상대적인 강점과 결함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정신지체가 있는 사람과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되었다. 즉, 이런 사람은 대부분 영역에서 정상적인 지적 과정을 가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읽기나 수학 같은 어떤 영역에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측정된 능력과 실제 수행간의 예상 밖의 괴리로 여기는 이 기본전제가 학습장애에 대한 오늘날 정의의 기초로 남아있다.
1960년대 초, 현대적 학습 불능 운동은 윤곽을 갖추기 시작했다. 부모와 교육자는 분명히 드러나는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이 적절한 진단이나 치료를 받을 수 없다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신지체, 학습 기회의 부족, 정신 병리학, 감각 결함 등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 문제가 있는 아동을 기술할 새로운 범주가 필요함을 깨닫고 특수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주 정부는 이를 환영하였다. 이는 교사 훈련프로그램이 일반적 교실수업 방법에 반응하지 않는 아동을 가르치기 위한 새 방법까지 개발하는데 까지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학습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짐으로써, 학습 불능 운동의 초점이 임상적인 것에서 교실 수업으로 이동했다.

3. 언어발달과 장애

태어나면서부터, 영아는 선택적으로 부모의 말소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곧 자신만의 기본적인 몸짓과 소리로 의사소통을 배워나간다.
음소를 반복해서 들으면 지각적 지도가 뇌에서 형성되어 상이한 음소를 식별하도록 도와준다. 기초회로가 일단 형성되면 유아는 소리를 단어로 바꿀 수 있음 더 많은 단어를 알아들을 수 있고 더 빨리 언어를 배울 수 있다. 또한 어린 나이에 악기를 다루면, 음악에 관련된 기저 신경회로뿐만 아니라 공간적 추론과 수학에 관련한 기저 신경회로를 강화시킬 수 있다.

3-1. 음소인식
모든 아동이 언어의 정상적인 발달 이정표를 따라 가지는 않는다. 일부 아동은 아주 느리게 따라가며, 욕구를 전하기 위해 말을 하기보다는 제스처나 소리를 계속 사용한다. 또 어떤 아동은 지시나 명령을 듣고 이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언어와 말의 영역에서는 정상적이지만 자신의 의사를 명확히 표현하는 데 곤란을 겪기도 한다.
음운론 에서는 언어의 중요한 소리(음소)를 학습 하고 저장하는 능력과 아울러 소리를 단어처럼 의미 있는 단위를 결합하는 규칙을 학습하고 저장하는 능력도 언급한다.
참고문헌
[학습장애] , 학지사, 송종용
[학습장애 클리닉 ] 한울림, 루이 라플레르, 드니즈 델랑 – 마르케
[학습장애 치료교육] 학지사, 박찬주
[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와 교육] 학지사,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공저
http://www.guidance.co.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